감사원 '삼바 감리' 정조준
금융수장도 당시 "충격·혼란" 지적
'직권남용' 확인땐 감리 결과 흔들
삼성, 분식회계訴 유리해질수도
"장하성·김상조 前실장 겨냥" 해석
"3년 징계 시효 지나" 일부선 비판
금융수장도 당시 "충격·혼란" 지적
'직권남용' 확인땐 감리 결과 흔들
삼성, 분식회계訴 유리해질수도
"장하성·김상조 前실장 겨냥" 해석
"3년 징계 시효 지나" 일부선 비판
[서울경제]
감사원이 금융감독원의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 감리를 4년여 만에 다시 조사하는 것은 ‘의도적 재벌 때리기’를 위한 직권 남용이 적잖이 의심되기 때문이다. 금감원이 2018년 5월 출입 기자단에 삼바 감리와 관련해 ‘조치 사전통지’ 사실을 공지한 것을 ‘업무상 비밀 누설’로 보고 접근하는 것도 비슷한 이유로 분석된다. 당시 삼성바이오는 물론 금융위원회조차 “금감원이 삼바 감리 이슈를 두고 여론전을 벌이려 ‘조치 사전통지’ 사실을 대대적으로 알린 것 아니냐”는 지적을 제기한 바 있다. 다만 감사원이 전 정권을 상대로 전면적인 ‘정치 감사’를 벌이는 측면이 있다는 논란 역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https://naver.me/5pj1Ki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