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美 상무장관 "상호관세, 연기·유예 없다" … 재무장관 "경기침체 고려 안 해"

뉴데일리

하워드 루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9일로 예정된 미국의 무역상대국에 대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부과와 관련,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 부과를 연기하거나 유예할 가능성이 없다고 6일(현지시각) 밝혔다.

루트닉 장관은 이날 CBS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이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 부과 시행 연기를 고려하고 있나'라고 묻자 "연기는 없다. 며칠 또는 몇주간 그대로 유지될 것이다. 그것은 분명하다"고 답했다.

이어 "대통령에게는 모두가 흑자를 보고 우리는 적자를 보는 글로벌 무역(에 대한) 재편이 필요하다. 세계 각국은 우리를 갈취하고 있다. 이건 끝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 백악관에서 관세정책을 발표하면서 세계 모든 나라에 10%의 기본관세를 5일부터 부과하고, 9일부터는 국가별로 차등화된 개별관세를 추가한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루트닉 장관의 이러한 언급은 상호관세 부과일 이전에 일부 국가와의 협상을 통해 해당 국가에 상호관세 부과 시행을 연기하거나 유예할 가능성을 일축한 것이다.

그는 "(상호)관세는 부과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그렇게 발표했고, 농담이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루트닉 장관은 '전날까지 50개국 이상이 협상 개시를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접촉을 시도한 것이 협상이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는 진행자의 언급에 "이 모든 나라가 우리를 속여왔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제 그 일을 끝낼 때가 온 것"이라고만 답했다.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따른 권한을 발동해 서명한 상호관세 행정명령에는 '수정 권한' 조항이 있어 향후 협상을 통해 관세율을 낮추거나 높일 수도 있다.

루트닉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후 주식시장 폭락 등 충격파가 거센 것에 대해서는 "이 문제는 국가안보 문제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며 "우리는 더는 이 나라에서 의약품, 선박, 전투에 사용할 강철과 알루미늄을 만들지 않는다. 자동차에 시동을 걸고, 전자레인지의 전원 버튼 모두 모두 반도체인데 모두 해외에서 만들어진다"고 지적했다.

국가별 상호관세가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이라는 평가와 함께 중국이 34% 맞불 관세를 발표하는 등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4일 미국 주식시장은 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급락했다.

미국 내 인플레이션 및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확산하면서 상호관세를 연기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5일)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상호관세를 '혁명'에 비유하는 등 전세계를 상대로 한 '관세전쟁'을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표명했다.

그는 "이것은 경제 혁명이고 우리는 이길 것"이라면서 "인내심을 가지라. 쉽지 않을 것이지만, 최종 결과는 역사적인 것이 될 것이다. 우리는 다시 미국을 위대하게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역시 "경기침체를 고려해야 할 이유가 없다"면서 증시의 부정적 반응을 우려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NBC방송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발표 이후 증시가 폭락한 것에 대해 "매우 인상 깊었던 것은 금요일(4일) 기록적 거래량을 기록했고, 모든 것이 매우 순조롭게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미국 국민은 이 사실에 큰 위안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때로 단기적 시장 반응을 경험한다. 나는 2016년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날 밤에 시장이 폭락한 것을 기억한다"며 "그는 100년 만에, 어쩌면 미국 역사상 가장 친기업 대통령이 되리라는 것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시 말하지만 나는 경기침체가 반드시 발생한다는 가정은 부정한다"며 "시장이 하루 뒤, 일주일 후에 어떻게 반응할지 누가 알겠나. 우리가 주목할 것은 번영을 위한 장기적 경제기반을 구축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것은 조정의 과정"이라며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이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고 (지미) 카터 시대의 침체를 극복했을 때 당시 약간의 불안정이 있었지만, 그는 그 과정을 견뎌냈고, 우리도 그 과정을 견뎌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루트닉 장관은 이번 관세 대상에 미국과 전혀 무역거래가 없는 남극 근처의 허드 맥도널드 제도 등 펭귄들이 모여 사는 무인도까지 관세부과 대상으로 삼은 것에 대해서는 "만약 목록에 있는 나라를 빼버리면 미국을 대상으로 한 기본적 차익 거래를 시도하는 국가들이 그 나라를 거쳐 우리에게 (제품을) 팔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2018년 중국에 관세를 부과했고, 이후 중국이 한 일은 다른 나라를 통해 미국으로 오는 것이었다. 대통령은 이 일을 지긋지긋해 하고 있으며 이를 바로잡을 것"이라면서 "대통령은 '나는 세계 어느 곳도 중국이나 다른 나라가 이 말도 안 되는 허점을 통해 (미국으로) 제품을 보낼 수 있는 곳으로 만들 수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4/07/2025040700012.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