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미국 전역에 인공지능(AI) 기반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29일 소프트뱅크가 AI를 활용한 무인 공장을 포함한 산업단지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1조 달러(약 1470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구상은 AI가 수요를 예측해 공장을 자동으로 운영하고, 자율 이동이 가능한 휴머노이드 로봇이 생산 공정을 지원하는 첨단 산업단지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스마트폰, 자동차, 에어컨 등 다양한 제품의 생산 라인에서 AI 기술을 적극 활용해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방식이 적용될 전망이다.
소프트뱅크는 이 프로젝트를 위해 엔비디아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독일 로봇 기업 '애자일 로봇'의 기술도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 또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협력하는 동시에 대만 폭스콘을 산업단지 건설에 참여시키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과거 소프트뱅크의 인간형 로봇 ‘페퍼’도 폭스콘에서 생산된 바 있어, 두 기업 간 협력 가능성이 크다.
자금 조달은 프로젝트 파이낸스(PF) 방식을 통해 진행될 예정이다. 소프트뱅크는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투자 펀드를 통한 직접 융자도 추진할 계획이다. 앞서 소프트뱅크는 지난 1월, 오픈AI 및 오라클과 함께 미국 내 데이터센터 설립을 위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4년간 최대 5,000억 달러(약 735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대규모 투자 계획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 기업에 대한 관세 압박을 강화하는 가운데 발표된 것으로, 일본 기업이 미국 제조업 발전에 기여하는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전략도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닛케이는 "관세 인상을 계기로 해외 대형 제조업체들의 대미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소프트뱅크는 AI를 활용한 생산성 향상으로 이러한 흐름을 주도하려 한다"고 분석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3/30/202503300001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