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트럼프 車관세, '카플레이션' 우려 확산 … 연준 통화정책도 '출렁'

뉴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수입차 및 부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방침이 자동차 시장을 강타하고 있다. 관세 정책 발표 직후 고급차 브랜드들이 가격 인상에 나선 가운데, 월가에서는 벌써부터 ‘카플레이션(Carflation)’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자동차(Car)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신조어로, 자동차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을 말한다.

가장 먼저 반응한 것은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 페라리다. 페라리는 27일(현지시간) 미국의 25% 관세 결정에 대응해 미국으로 수출되는 차량의 가격을 최대 10%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단순한 고급차 가격 인상을 넘어 전체 시장에 '가격 인상 도미노'가 현실화될 가능성을 예고하는 신호탄이다.

시장조사업체 콕스 오토모티브는 수입산 자동차에 25%의 관세가 적용될 경우, 미국 내 차량 가격이 3000달러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미국에 자동차를 가장 많이 수출하는 캐나다·멕시코산 차량에는 최대 6000달러의 가격 인상 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자동차 산업 전반에 미칠 충격도 적지 않다. 공급망 차질로 북미 지역 차량 생산이 하루 2만 대 감소하고, 전체 생산량의 30%가 줄어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이는 2021년 코로나 팬데믹 시기와 유사한 상황으로, 일부 모델의 단종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자동차 가격 급등은 신차 시장뿐 아니라 중고차 시장에도 연쇄 충격을 안겨줄 수 있다. 소비자들의 수요가 중고차로 몰리면서 가격이 동반 상승하는 '이중고'가 우려된다.

업계는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글로벌 공급망이 관세로 인해 붕괴될 위험에 처했다고 경고한다. 북미 전역을 수차례 이동하는 부품들이 각 경유지에서 세금을 부과받는다면, 전체 비용 상승은 불가피하다. 여기에 캐나다·멕시코 등 주요 무역국의 보복 관세까지 겹칠 경우, 파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사전 예고 없이 단행된 점도 문제라고 지적한다. 수잔 헬퍼 전 백악관 산업전략 수석고문은 "이번 관세 정책은 분명히 자동차 산업 전반에 큰 혼란을 야기할 것"이라며 "생산 감소, 가격 인상, 모델 단종, 이익률 하락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카플레이션’ 우려는 단순히 소비자 가격 문제를 넘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동차 가격 상승이 물가 전반을 자극하면서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브라이언 모이니핸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최고경영자(CEO)는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끈적하다(sticky)’고 보고 있으며, 올해 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연준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밝힌 두 차례의 금리 인하 시사와는 다른 해석이다.

연준 인사들 역시 잇따라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을 경고하고 나섰다.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관세 여파로 단기적인 물가 상승은 불가피하다"며 금리 동결이 장기화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관세·세금·이민 등 정책 변화가 소비자와 기업에 불확실성을 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도 "관세 인상에 따른 인플레이션 효과가 일시적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며, 경우에 따라 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와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도 잇따라 통화정책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 상황을 반영해 올해 금리 인하 횟수 전망을 기존 2회에서 1회로 줄인 바 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3/29/2025032900013.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