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野, 6년째 자리 지킨 유시춘은 '모르쇠' … "신동호 EBS 사장 임명은 '알박기'" 적반하장 주장

뉴데일리

헌법재판소가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를 기각하면서 사실상 '방통위 2인 체제'가 위법이 아니라는 판단을 내렸음에도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과 전국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 EBS지부 조합원들이 "2인 체제의 안건 의결은 불법"이라며 방통위를 상대로 "신동호 EBS 이사를 EBS 사장에 임명한 것을 철회하라"고 촉구해 논란이 일고 있다.◆언론노조, 신동호 사장 '출근 방해' ‥ 물리력 행사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0일까지 EBS 사장직을 공모한 방통위는 지난 26일 이진숙 방통위원장과 김태규 부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전체회의를 열고 8명의 지원자 중 신동호 EBS 이사를 신임 사장에 임명하기로 의결했다.

이에 EBS 방송제작본부장 등 보직 간부 52명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방통위 2인 체제에서 이뤄진 결정은 법적 효력을 가질 수 없고, 정당성도 인정받을 수 없다"며 "이런 절차에 따라 임명된 인사를 공영방송 사장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번 임명에 대한 항의의 뜻으로 보직에서 사퇴하겠다는 의사까지 밝혔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민주당·조국혁신당 의원들은 "이진숙 방통위원장이 '가장 아낀다'는 신동호 후보자를 심의하고 의결에 참여한 것은 방통위법 제14조 3항 위반 소지가 있다. 이해충돌 소지도 크다"며 이 위원장이 MBC 본부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신 이사가 아나운서국장이었다는 이유를 들어 이번 임명을 '알박기 인사'라고 폄훼했다.

언론노조 EBS지부는 신동호 신임 사장의 출근을 막아서는 '집단 시위'로 압박을 가했다. 지난 27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EBS 사옥 앞에 집결한 이들은 관용차에서 내린 신 사장을 사방에서 가로막으며 '위법 선임 사장 거부한다'는 손피켓을 들이밀고 노골적으로 출근을 방해하는 행동을 했다.

결국 직원들의 항의에 막혀 '첫 출근'을 하지 못한 신 사장은 이튿날인 28일 오전에도 직원들에게 가로막혀 출근을 하지 못했다.

◆"EBS마저 민노총이 장악 ‥ 개탄스럽다"

EBS 사장 임명을 둘러싸고 야권의 집단 반발과 물리력 행사가 이어지자, MBC 사장 출신인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2017년 문재인 정권이 들어서자 민주당과 민노총 언론노조가 합심해서 고대영 KBS 사장과 MBC 사장이었던 저를 쫓아냈던 '정파 카르텔'이 재현됐다"고 개탄했다.

김 의원은 28일 페이스북을 통해 "민노총 언론노조원들이 대부분인 EBS직원들이 신동호 신임 사장의 출근을 저지하는 폭력을 자행하고 있다"며 "교육을 담당하는 EBS마저 민노총이 장악하고 있는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탄식했다.

그러면서 "신동호 사장이 불법이라고요?"라고 되물은 김 사장은 "양심이 있다면 민노총 언론노조는 업무추진비를 유용하고도 여전히 EBS 이사장 자리에 '알박기'하고 있는 유시춘 이사장과 정파적 이해관계를 앞세워 EBS의 권위를 무너뜨린 김유열 전 사장을 부정하는 것이 먼저일 것"이라고 꼬집었다.

과방위 소속 여타 국민의힘 의원들도 "신동호 EBS 사장 임명이 불법이라는 야당의 주장은 허위 선동"이라며 "김유열 전 EBS 사장의 임기는 지난 9일부로 종료됐고 법과 원칙에 따라 신동호 신임 사장이 적법하게 임명됐다"고 강조했다.

지난 27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연 이들은 "방통위의 '2인 체제'에서 이뤄진 결정이 위법이라는 민주당의 주장은 헌법재판소의 판단에 의해 이미 무력화됐다"며 "헌재는 이진숙 위원장에 대한 탄핵소추를 기각해 방통위 운영의 법적 정당성을 확인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6년간 자리 지킨 유시춘이야말로 '알박기'"

이들은 "오히려 방통위의 2인 체제는 민주당의 방통위원 추천 거부로 초래된 사태"라며 "이를 두고 정부와 방통위에 책임을 떠넘기는 것은 후안무치한 행태다. 민주당은 남 탓을 하기 전에 자신들의 직무 유기부터 돌아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민주당에서 신 사장의 임명을 '알박기 인사 결정판'이라고 비판한 데 대해선 유시춘 EBS 이사장을 언급하며 응수했다.

이들은 "적반하장도 유분수다. 진정한 알박기의 끝판왕은 유시춘 EBS 이사장 아닌가"라며 "문재인 정부 때 임명된 후 연임을 통해 무려 6년간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사장 임기가 작년 8월 만료됐음에도 민주당의 탄핵 공세로 후임 인사가 지체되면서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유 이사장은 업무추진비 1900여만 원을 유용한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고, 김유열 전 EBS 사장은 유 이사장이 유용한 업무추진비에 대한 EBS 감사실의 환수 요청조차 묵살한 인물"이라며 "정파적 이해관계를 앞세워 공영방송의 권위를 무너뜨린 유 이사장과 김 전 사장이 물러나야만 공영방송 EBS의 신뢰가 회복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3/28/2025032800363.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