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직접 대화에 나설 경우, 남북관계 이해 당사자인 한국이 배제될 지 모른다는 우려가 한국 내에서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패싱'하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전 종전협상을 진행한 것이 그 근거다.
캐슬린 스티븐스 전 주한미국대사는 19일(현지시각) 미국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한반도 정책 관련 팟캐스트에 출연해 "트럼프가 미국뿐 아니라 아시아에서도 대서양(유럽)과의 관계를 다소 경시하고 태평양에 집중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분석했다. 이어 "한국에서는 '서울 패싱'에 대한 불안이 상당히 높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집권 1기 당시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직접 대화에 나설 가능성이 크고, 이때 최근 이뤄진 미·러 고위급 협상과 유사하게 주요 당사자인 한국이 배제될 수 있다는 추론이다.
스티븐스 전 대사는 "서울 패싱 여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와 그 관계가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수십년간 미국에서는 동맹에 대한 초당적 지지가 깊어지고 있다"며 "이런 제도적 틀이 비전통적 스트레스와 긴장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기존 미국 대통령들과 차이를 보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방식에 대응하기 위한 조언이다.
아울러 스티븐스 전 대사는 한국의 시급한 대미 현안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조치를 꼽았다. 또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시행됐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법에 따른 지원금 등 혜택의 축소·폐기 가능성도 주시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20/202502200000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