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하고 나서면서 이에 반발해 유럽 주요국 지도자들이 17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비공식 회동을 가졌다.
프랑스·독일·영국·이탈리아·스페인·네덜란드·덴마크·폴란드 정상을 비롯해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나토) 사무총장은 이날 오후 4시 프랑스 대통령실인 엘리제궁에 모여 긴급회동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 '대서양 동맹'을 무시하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에 나서기로 한 데 대한 대응책 마련을 위해서다.
이날 회동은 전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제안으로 성사됐다. 엘리제궁에 따르면 이날 회의 직전 마크롱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했다.
회동에서는 종전 협상에 유럽 입장을 반영할 방안, 종전 협상 성사 후 우크라이나의 지속적 평화 보장 방안, 유럽의 자체 안보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오는 24일로 전쟁 발발 3주년이 되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유럽의 변함없는 우크라이나 지지 의사를 표명하는 것도 이번 회동의 주요 목표 중 하나로 보인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파리에 도착한 뒤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 계정에 "유럽의 안보가 전환점을 맞았다"면서 "물론 우크라이나에 관한 것이지만, 우리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긴박한 사고방식과 국방비 인상 등 두 가지 모두가 필요한 시기"라고 덧붙였다.
안토니우 코스타 EU 상임의장도 엑스에 "이번 회의는 일련의 과정이 시작되는 것으로, 유럽의 평화와 안보에 헌신하는 모든 파트너가 지속적으로 참여할 것"이라면서 "EU와 회원국들은 이 과정에서 중심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날 회담에서는 종전 협상이 성사될 경우 우크라이나에 유럽 평화유지군을 배치하는 방안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자국군 직접 파병에 대해서는 각국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파병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는 영국과 프랑스다. 반면 독일은 우크라이나 파병을 꺼리고 있다. 폴란드 역시 파병안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이다.
이날 회의는 비공개로 열려 논의 결과가 공개되지 않을 수도 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18/202502180000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