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초경쟁 세뇌교육으로 부작용이 너무 심함
이런 상황에서는 아무도 행복하지 않음
지금 갈등도 결국 존중 배려교육이 없어서 그래요
ㅇㅇ 도덕이 뭔지, 예절이 뭔지, 사회 생활에 있어 배워야할 것들을 배우게 해야함. 그리고나서 학생 개개인이 무엇에 관심있는지, 잘하는게 뭔지를 알아가야하는데 이런걸 죄다 생략하고 그냥 대학 하나보고 어른들말 듣고 대학갔다가 방황하는 애들이 너무 많음
지금까지 우리나라가 법, 경제, 정치, 경영 제외한 사회과학을 경시한 부분이 크다.
시대가 지날수록, 세기가 바뀔수록 사회과학들의 융합성은 더욱 커져만가는데, 자연과학은 융합성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만 현재 우리는 사회과학의 융합성을 활용할 충분한 물적, 인적, 시스템적 자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피교육자의 분위기는 언제나 권력으로 이어지는 직행로인 법경정경으로 쏠린다.
존나 쳐 외우기만하고 각학문마다 정신승리하는 글만 싸질러놓고 이론입네하는 그 유사사회과학?
지금 갈등도 결국 존중 배려교육이 없어서 그래요
ㅇㅇ 도덕이 뭔지, 예절이 뭔지, 사회 생활에 있어 배워야할 것들을 배우게 해야함. 그리고나서 학생 개개인이 무엇에 관심있는지, 잘하는게 뭔지를 알아가야하는데 이런걸 죄다 생략하고 그냥 대학 하나보고 어른들말 듣고 대학갔다가 방황하는 애들이 너무 많음
지금 갈등도 결국 존중 배려교육이 없어서 그래요
지금까지 우리나라가 법, 경제, 정치, 경영 제외한 사회과학을 경시한 부분이 크다.
시대가 지날수록, 세기가 바뀔수록 사회과학들의 융합성은 더욱 커져만가는데, 자연과학은 융합성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만 현재 우리는 사회과학의 융합성을 활용할 충분한 물적, 인적, 시스템적 자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피교육자의 분위기는 언제나 권력으로 이어지는 직행로인 법경정경으로 쏠린다.
존나 쳐 외우기만하고 각학문마다 정신승리하는 글만 싸질러놓고 이론입네하는 그 유사사회과학?
ㅇㅇ 도덕이 뭔지, 예절이 뭔지, 사회 생활에 있어 배워야할 것들을 배우게 해야함. 그리고나서 학생 개개인이 무엇에 관심있는지, 잘하는게 뭔지를 알아가야하는데 이런걸 죄다 생략하고 그냥 대학 하나보고 어른들말 듣고 대학갔다가 방황하는 애들이 너무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