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이 10일(이하 현지시간)부터 미국에 대한 보복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예정된 가운데 '미중 무역전쟁'이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는 분위기다.
9일 중국과 미국 현지 매체에 따르면 중국은 10일부터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지난 4일 발표했다. 구체적인 추가 관세 부과율은 미국산 석탄 및 LNG 15%, 원유‧농기계‧대형 자동차‧픽업트럭 10% 등이다.
이는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 문제에 대한 중국의 대응 부족 등을 이유로 지난 4일 오전 0시를 기해 중국산 수입품 10% 추가 관세를 강행한 데 따른 맞대응 조치다.
이밖에도 중국은 ▲구글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 ▲텅스텐 및 텔루륨 등 광물 수출 통제 ▲패션 기업 PVH 그룹 및 생명공학 업체 일루미나 제재 등 다수의 다른 보복 조치도 감행했다.
다만 이같은 중국의 보복 조치는 종류만 많을 뿐 미국에 큰 타격을 주진 않을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중국의 보복 관세 개시 전 미중 양국의 협상 가능성이 점쳐졌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시 주석과의 통화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했다. 전날 "시 주석과 아마 24시간 내로 대화할 것"이라며 톱다운(하향식) 방식에 의한 타결 기대감을 드러낸 지 하루 만에 입장을 선회한 것이다.
이와 관련 시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 서둘러 통화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분석도 지난 6일 나왔다.
기업가 마인드의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문제에 대해 단기간 내 합의를 바라지만, 시 주석을 비롯한 중국 지도부는 세부 의제를 먼저 정리하지 않고 고위급 통화를 진행하는 데 신중하다는 것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달리 동맹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를 한 달간 유예한 바 있다. 그러나 그는 10일께 다수 국가를 상대로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를 예고하면서 관세 전쟁의 전선을 확대하는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상호 관세는 미국이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다른 국가가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 수준에 맞춰 인상하는 것이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9/202502090002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