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대통령실 "대왕고래, 전체 실패 아냐 … 나머지 6개 유망 구조 계속 탐사"

뉴데일리

대통령실은 7일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는 1차 시추 결과에 대해 야당이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주장한 데 대해 "이번 잠정 결과는 대왕고래에 대한 단정적 결론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에게 이같이 밝히며 "나머지 6개 유망 구조에 대한 탐사 시추도 해 봐야 하기 때문에 동해 심해가스전 전체의 실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반적으로 첫 번째 탐사 시추에서 성공한 사례는 거의 없고, 가이아나는 14번, 동해가스전(생산량 4500만 배럴)은 1987년부터 1998년까지 10년 넘는 기간 동안 11번의 탐사시추 끝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금번 동해 심해가스전도 발표 당시 적어도 5번의 탐사계획을 밝혔고, 나머지 유망구조에 대해서 탐사시추를 계속할 계획"이라며 "메이저 석유 회사들은 동해 심해 가스전의 개발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으며, 투자에 관심이 많은 상황인 만큼 올 상반기 내에 기업 투자를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대통실 관계자는 다만 "정부 예산 지원 없이 해외 투자유치 만으로 추가 탐사를 진행할 경우 우리에게 불리한 조건으로 진행되어 국익에 손실이 될 우려가 있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서해 보하이해 유전 개발), 일본(대왕고래 인근 동해 시추 재개)에서도 인근 해역에서 국가적 역량을 동원, 석유·가스 개발 추진 중"이라고 했다.

앞서 정부는 6일 '대왕고래'로 명명된 동해 심해 가스전 유망 구조에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이번 대왕고래 구조 시추 작업에서 가스 징후를 일부 잠정적으로나마 확인했지만, 규모가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었다"며 "경제성을 확보할 수준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부터 동해 대왕고래 유망 구조 해역에서 탐사시추 작업을 진행했던 웨스트 카펠라호는 지난 4일 작업을 마치고 5일 한국에서 철수했다.

이를 두고 더불어민주당은 "정부·여당과 대통령이 다 나선 대사기극이었다"고 비난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7/2025020700276.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