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개발한 저비용 생성형 AI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와 관련, 미국에서는 법으로 정부 내 사용을 금지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6일(현지시각) CNN에 따르면 대린 러후드(공화, 일리노이) 미국 하원의원과 조쉬 고트하이머(민주, 뉴저지) 하원의원은 국가안보 우려를 이유로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7일 발의할 예정이다.
법안에는 정부기관이 딥시크와 모회사인 하이플라이어(High-Flyer)가 개발한 다른 앱들을 소유 기기에서 제거하도록 표준과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고트하이머 의원은 "적이 우리 정부로부터 정보를 얻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 즉각 취해야 할 조치의 관점에서 생각할 필요가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러후드 의원 역시 "어떤 상황에서 중국 공산당 회사가 민감한 정부 또는 개인 데이터를 입수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중국 IT 기술에 대한 미국 의회의 초당적 우려를 고려하면 실제 법률로 제정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앞서 딥시크가 내놓은 생성형 AI는 저비용으로 개발됐음에도 오픈AI의 챗GPT에 필적하는 성능을 선보이며 전세계에 충격을 안겼다. 다만 곧이어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불거지면서 전세계적으로 차단 움직임이 확산 중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 온타리오에 있는 사이버보안업체 페루트 시큐리티(Feroot Security)의 이반 차린니 CEO는 AI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딥시크의 코드를 해독한 결과 감춰진 부분이 발견됐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의 개인정보가 중국으로 전송되고 있으며 거부할 방법이 없다"며 "딥시크는 미국 사용자가 연결하는 모든 것을 수집하고 있다. 이는 과거에는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것"고 지적했다.
차이나모바일의 온라인 레지스트리 사이트 'CMPassport.com'으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지닌 코드가 의도적으로 은폐된 듯한 모양새로 삽입돼 있었다는 것이 차린니 CEO의 주장이다.
WSJ는 이탈리아 정부가 1월에 데이터 보안 문제를 이유로 정부 시스템에서 딥시크의 사용을 금지했으며 이달 4일에는 호주 정부가 같은 조치를 취했다고 전했다.
중국을 최대 안보 위협으로 간주하는 대만은 "국가정보안보를 보장하기 위한 목적"이라면서 공무원들에게 딥시크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일본의 경우 공식적으로 금지하지는 않았지만 4일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이 "(딥시크의) 개인정보 포함 데이터는 중국 서버에 보존돼 중국 법령이 적용된다. 일본 이용자에게 내용 파악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면서 이용 자제를 권고했다.
영국과 프랑스·벨기에·아일랜드 등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도 딥시크의 위험성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미국 내에서도 해군과 항공우주국(NASA)과 같은 일부 연방기관이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로 딥시크 앱을 차단했다. 또 텍사스주도 국가안보 문제를 이유로 주 정부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또한 한국의 주요 정부부처도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복수의 한국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한국 국방부·외교부·통일부·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정부·농림축산식품부·국토교통부·문화체육관광부 등 부처들은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한 상태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국내 주요 기업들도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분위기다. 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롯데·신세계그룹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을 비롯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네이버, 카카오 등 ICT 기업들이 앞다퉈 딥시크 접속 차단에 나섰다.
앞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달 31일 중국에 있는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와 관련한 공식 질의서를 발송했다.
딥시크가 어떤 개인정보를 어디에서 수집하는지 이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는지, 국내 이용자들의 데이터가 중국 서버에 저장되는지 여부 등을 집중적으로 확인한다는 취지다. 다만 딥시크는 아직 회신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6일 정례 브리핑에서 각국의 딥시크 제한 움직임에 관한 질의에 정부 차원에서 기업에 '위법한 데이터 수집'을 요구한 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중국 정부는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고도로 중시하고 법에 따라 보호하고 있으며 지금껏 기업 혹은 개인에 위법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수집·저장하라고 요구한 적도 없고, 요구하지도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7/202502070000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