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심판 증인으로 출석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의 진술을 문제삼으며 홍 전 차장에게 비상계엄 관련 연락을 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 대통령의 '체포 지시'가 있었다고 인정한 홍 전 차장의 증언을 반박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4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사건 5차 변론기일에서 "제가 만약 계엄에 대해 국정원에다 뭘 지시하거나 부탁할 일이 있으면 국정원장에게 직접 하지 차장들에게는 하지 않는다"며 "담당인 2차장도 아닌 1차장에게 계엄과 관련한 부탁을 한다는 게 비상식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고 위치추적을 할 수 없다"며 "협력한다고 하는데 방첩사령관이 물을 이유는 없고 저 자체(홍 전 차장 진술)는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 전 사령관이 앞서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체포조' 명단을 받고 위치추적 요청을 받았다고 한 진술을 반박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조태용 국정원장이) 해외에 있는 줄 알고 처음으로 홍 차장에게 전화하게 됐다"며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다만 당시는 "연락할 일이 생길지 모르니 비화폰을 잘 챙겨달라"고 당부만 전했다.
이후 조 원장이 국내에 체류 중인 사실을 파악한 뒤 홍 전 차장에게 재차 연락했지만 계엄 관련 대화는 나누지 않았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홍 차장한테 전화한 것은 계엄 사항도 아니고 이미 관련된 문제는 국정원장과 다 이야기했기 때문에 해외 순방 때 국정원 해외담당 파트가 여러 가지를 도왔기 때문에 격려 차원에서 전화했다"고 말했다.
또 "국정원에 방첩사 도와주라는 얘기는 방첩사 예산이 부족해 늘 한다"며 "간첩 수사를 방첩사가 잘할 수 있게 도와주라는 계엄 사무과 관련 없는 이야기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홍 전 차장은 이날 증인으로 출석해 윤 대통령의 '정치인 체포 지시'가 있었음을 인정했다.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이 통화에서 "'이번 기회에 싹 다 정리해, 국정원에 대공수사권 줄 테니 도와'라는 취지로 말한 것이 맞냐"는 국회 측 질문에 "그렇게 기억한다"고 말했다.
그는 "(싹 다 정리하라는 말을) 말 뜻 그대로 이해했다"며 "다만 대상자를 규정할 수 없어 누구를 잡아들여야 하는지까지는 몰랐다"고 증언했다. 이후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에게 전화하자 여 전 사령관이 주요 인사들의 '체포 명단'을 불러주며 위치추적을 요청했다고 진술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4/202502040042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