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에 증인으로 나와 '체포 명단을 받은 적 있느냐'는 질문에 증언을 거부했다.
여 전 사령관은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진행된 탄핵심판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14명의 체포 명단을 받은 사실이 있냐'는 국회 측 질문에 "형사재판과 관련한 부분이라 자세히 진술할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여 전 사령관은 "장관으로부터 지시받은 사항을 이해해서 부하들에게 얘기한 것"이라며 "부하들 각각에게 지시사항을 전파하는 과정에서 서로 이해한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고 설명했다.
여 전 사령관이 지난해 11월 김 전 장관과 저녁식사 중 비상계엄 관련 이야기를 나누다 식탁을 내리치며 고성을 질렀다는 의혹과 관련해선 "계엄에 대한 부정적 견해와 소신을 말하면서 다소 언성이 올라간 것은 맞지만 그 분이 장관인 점을 상식적으로 고려해달라"고 말했다.
방첩사 수사단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알고 있었는지에 대해선 "증거기록을 보면 그런 진술과 반대되는 진술이 많다"고 답했다.
여 전 사령관은 계엄 선포 당시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특정 인물들의 명단을 전달하며 위치 정보를 요청한 사실은 인정했다.
그는 "조 청장에게 두 가지를 협조 요청한 것으로 기억한다"며 "첫 번째는 법령과 작전 계획에 따라 합동수사본부가 구성돼야 하니 경찰 인력을 보내달라는 것, 두 번째는 특정 명단에 대한 위치 파악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명단에 대한 구술은 있었지만 조 청장이 기억하는 것과 제가 기억하는 게 다르다.형사재판에서 따져봐야 할 것 같다"고 부연했다.
홍장원 국가정보원 1차장과 통화한 사실은 있지만 14명의 위치정보 확인 요청이 있었는지에 대해선 답변을 거부했다.
국회에 출동한 방첩사 요원들이 포승줄과 수갑을 준비한 것에 대해선 "수갑과 포승줄은 출동하면 들고 나가는 기본 장비로 특별한 목적을 가진 게 아니라 훈련하면서 쓰는 것"이라며 "(요원들에게) 비무장을 지시했다"고 해명했다.
끝으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선관위 부정선거 의혹 수사를 목적으로 계엄사 합동수사본부 '제2수사단'을 설치하려 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전혀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4/202502040039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