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4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 멕시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결정한 가운데 미국 기업과 소비자들 사이에서 '사재기' 현상이 일고 있다는 현지 보도가 나왔다. 트럼프 1기 행정부의 '한국 세탁기 관세'에 따른 학습효과로 고가의 가전제품까지 수입 물가 상승 전에 사려는 움직임도 나타난다.
미국 매체 ABC는 2일(현지시간) "많은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을 예상하고 관세를 피하기 위해 수입품을 비축해뒀다"고 전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지난해 11월부터 월마트 등 미 대형 소매점들은 재고 쟁이기에 발 빠르게 나섰다. 트럼프 당시 당선인의 핵심 공약이 고율관세였던 영향이다.
CNBC 역시 "다수의 기업들이 관세 부과 시행 전 다량의 재고 확보를 위해 수입을 늘렸고 물류 창고마다 재고를 쌓아뒀다"면서 "기업들의 물류 보관 비용은 결국 소비자 가격에 반영돼 소비자에 전가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전부터 사재기에 동참한 것은 소비자 개개인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연말부터 미 대형 소매점에서 화장지, 커피, 올리브 오일 등 생활 필수품 재고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이 관측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사재기 품목은 진공 청소기, TV, 오디오 등 가전제품까지 확대됐다. 관세 정책에 따라 수입 물가 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한 소비자들이 미리 기존 가전제품을 새 제품으로 교체하려 나선 것이다.
실제로 캘리포니아에 거주하는 35세 소프트웨어 컨설턴트는 트럼프의 당선 이후 삼성 히트펌프를 비롯해 새 가전제품 구입에 1만2000달러(한화 약 1761만원) 이상을 지출했다고 WSJ에 말했다.
이러한 사재기 행렬은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시행한 '한국 세탁기 관세'에 따른 학습효과라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당시인 지난 2018년 수입 세탁기에 최고 50%의 고율관세를 부과했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한국산 세탁기를 정조준한 '관세폭탄' 조치였다.
이에 따라 당시 세탁기 가격은 12% 올랐다. 금액으로는 1대당 평균 86달러(약 12만6000원) 오른 수준이었다. 미 소비자들이 세탁기 구입에 추가로 부담한 금액은 연간 15억 달러(약 2조2019억원)로 추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2기 행정부 들어 더욱 강력한 보편관세 정책 현실화에 나서고 있다. 관세를 이용한 보호무역이 자국의 일자리를 보호하고 고용을 창출할 것이라는 논리다.
그러나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투자은행 ING는 트럼프 행정부의 보편관세 조치로 미국 국민들이 보는 이득보다 손실이 더 클 것으로 내다봤다. 최악의 경우 국민 1인당 835달러(약 123만원)의 경제적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 소비자가 자국 제품을 사지 않고 관세 인상 가격으로 수입 제품만 구입할 경우를 가정한 결과다.
학계도 관세가 소비자 부담으로 돌아온다는 주장에 적극 공감한다. 시카고 대학이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응답자의 98%가 관세 부과의 상당 부분을 관세 시행국 소비자가 부담하게 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제품의 소비자 가격이 인상되기 때문이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3/202502030020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