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멕시코, '셰인바움 플랜B' 3일 공개 … 對美 보복관세 품목 밝힐듯

뉴데일리

멕시코 정부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멕시코산 제품 25%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3일(현지시간) 발표한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2일 온라인을 통해 내놓은 대국민 연설에서 "저는 내일(3일) 아침 정례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 조처에 대한 우리의 전략을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부 현지 언론을 중심으로는 '보복 관세' 부과 대상으로 정한 미국산 제품에 대한 품목을 밝힐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셰인바움 대통령은 전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 플랜 B를 시행할 것을 지시했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25% 관세 부과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치면서 보복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멕시코 대통령은 그간 트럼프의 관세 부과 가능성에 "플랜 A, B, C를 준비 중"이라고 언급해 왔는데, 현지 언론은 미국과의 직접 협상을 통해 관세 조치를 피하것이 플랜A였다면 앞으로 보복 관세 대응이나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단계별 국제분쟁화가 플랜B, 플랜C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미국의 25% 관세 부과는 미국과 멕시코 모두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협상을 통한 관세부과 행정명령 철회'를 간접적으로 촉구하기도 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 이유로 국경의 펜타닐(일명 좀비마약) 유입을 지목한 것도 강한 어조로 반박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우리 정부가 범죄 조직과 동맹을 맺고 있다는 식의 트럼프 대통령 주장을 규탄한다"며 "미국은 자국 내에서 불법 마약 판매를 근절하기 위한 어떠한 조처도 하지 않았고, 이에 따라 미국 범죄집단 체포 소식을 누구도 들어본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근본적으로는 '미국산 총기 유입이 멕시코 마약 카르텔 조직적 활동의 주요 뒷배경'이라고도 주장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3/2025020300043.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