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지지율 하락하니 '여론조사기관' 때리는 민주당 … 당명에서 '민주'를 빼라

뉴데일리

더불어민주당이 여론조사 기관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당 차원에서 여론조사 검증을 위한 기구를 설치한 것을 비롯해 여론조사 업체 관리를 강화하는 내용의 법안도 발의했다. 최근 민주당에 불리한 여론조사 결과가 잇따라 나오자 책임을 묻겠다며 여론조사 기관을 '정조준'한 것이다. 민주당이 민심을 검열하고 여론 통제에 나섰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지난 23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최근 당 지지율이 저조한 것에 대해 "국민의 뜻이니 저희가 겸허하게 수용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해당 발언은 여론조사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겠다는 의미로도 풀이됐다.

그러나 이 대표의 '겸허히 수용'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민주당은 여론조사 결과를 불신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 20일 '여론조사 검증 및 제도 개선 특별위원회'를 출범시킨 후 왜곡된 여론조사를 바로잡겠다고 나섰다. 특위가 지난 23일 개최한 토론회에서는 "여론조사가 정확하지 않은 시대"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특위는 여론조사 조작 여부를 검증하겠다며 직접 조사기관을 방문하려다 취소하는 소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처럼 민주당이 여론조사 결과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추락하는 당 지지율 때문이다. 비상계엄 사태에서 탄핵 정국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정치 상황을 겪고도 지지율이 되레 하락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흐름은 전국지표조사(NBS)·한국갤럽 등이 실시한 주요 여론조사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특히 민주당은 자신들이 '내란 공범'으로 지목한 국민의힘에 지지율이 뒤처지자 위기감은 더욱 고조된 상태다.

친명(친이재명)계인 한민수 민주당 의원은 지난 21일 여론조사 기관·단체의 등록 요건을 법률로 정하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규칙으로 정하던 등록 요건을 국회 통제를 받게 하고 여론조사 기관에 대한 정기 점검 의무화 내용을 법안에 포함했다. 한 의원은 법안 제안 이유에 대해 "여전히 선거 여론조사 결과에 왜곡이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문제는 민주당이 자당의 지지율이 높을 때는 문제를 제기하지 않다가 불리하게 나오자 여론조사 업체 때리기에 나선 점이다. 이에 대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최근 불리한 여론조사 결과가 계속 나오자 이제 통계까지 정치권력으로 통제하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가짜뉴스를 잡겠다며 '카톡 검열' 논란을 일으켰던 민주당이 여론조사까지 검열한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민주당은 민주정당이 맞느냐"고 했고,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2025년 대한민국이 갑자기 검열공화국이 되고 말았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민주당이 여론조사 검증 특위를 출범하자 '전체주의적 행태'라고 질타했다. 이들은 "기관에 사실상의 압력을 행사해 자신들에게 유리한 결과가 나오도록 하려는 것 아니냐"며 "국민의 정치적 의사 표현마저 억압하려는 민주당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했다.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의 지지율 하락 원인을 이재명 대표의 비호감도 탓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이에 대해 한 야권 관계자는 "이재명이 대통령 되는 걸 극도로 싫어하기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짚었다.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도 최근 이러한 상황을 의식한 듯 "이 대표 한 사람만 바라보며 당내 민주주의가 숨을 죽인 지금의 민주당은 과연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느냐"고 일갈했다.

반면 민주당은 지지율 하락세 원인을 '보수 과대 표집'으로 보고 있다. 현장에서 체감하는 민심과 여론조사 결과에 차이가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수도권 지역의 민주당 한 의원은 "동네에 돌아다니다 보면 실제 분위기는 완전히 다르다. 윤석열 정권이 싫다는 의견이 60% 정도"라며 "설 연휴가 끝나면 여론조사 결과가 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보수 과대 표집이라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며 "여론조사에서 성별, 나이, 지역은 보정이 되는데 이념은 보정을 안 하는 게 아니라 못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념 지향이라는 건 주관적이다. '보수 지지층이 일정한데 거기에 더 많이 포함시켰다' 이런 얘기가 될 수 있는데, 사람 생각이 계속 변하는 상황에서 '보수 지지층이 원래 어느 정도'라는 걸 어떻게 파악하겠는가"라고 반박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1/24/2025012400128.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