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경제팀이 매달 2~5%씩 단계적으로 관세를 인상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트럼프 당선인의 고율관세 공약 실천에 따른 인플레이션 폭등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풀이된다.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 지명자, 케빈 헤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지명자, 스티브 미런 대통령경제자문위위원회(CEA) 위원장 지명자 등 차기 미 행정부 경제팀이 이러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 행사 등 행정권을 발동해 관세를 매달 2~5% 인상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아직 트럼프 당선인에게 공식적 제안은 이뤄지지 않은 논의 초기 단계라고 매체는 덧붙였다.
점진적 관세 인상안은 트럼프 당선인의 '고관세' 공약을 실행하면서 인플레이션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관세를 한 번에 높일 경우 인플레이션이 치솟고 주식시장에 부정적 영향이 미칠 것을 고려한 것이다.
블룸버그는 관세 인상에 따라 각국의 보복 관세가 현실화할시 인플레이션 반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결정 셈법도 복잡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오는 20일 취임하는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첫날부터 모든 수입품에 최대 20% 보편관세를 매기고 특히 중국산 수입품에는 최대 60%의 고율관세를 적용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1/14/202501140009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