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는 20일(현지시간) 백악관에 복귀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파나마운하와 덴마크령 그린란드 통제권 확보를 위해 군사력 사용 옵션도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와 중국을 견제하고 미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강제 점령에 나설 수 있다는 점을 내비친 셈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7일 자신의 저택이 있는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에서 행한 대선 승리 후 두번째 기자회견에서 파나마운하와 그린란드의 통제권 확보를 위해 군사 또는 경제적 강압을 배제할 것이냐는 질문에 “두 사안 어떤 것에 대해서도 나는 확언할 수 없다”면서 “나는 그것(경제 또는 군사적 강압수단 사용 배제)을 약속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트럼프는 최근 국가 안보와 경제적 이유를 들어 파나마 운하와 덴마크 영토인 북극의 그린란드를 미국이 소유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지난달 파나마운하 사용료 인하를 요구하며 파나마에 운하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고 주장했고, 덴마크령인 그린란드에 대해선 매입 의사를 밝혔다.
이날 트럼프 당선인은 파나마가 미국에 과도한 운하 통행료를 부과하고 있다는 주장을 반복하면서 “파나마 운하(문제)는 현재 그들(파나마 측)과 논의하고 있다”고 밝힌 뒤 “그들(파나마 정부)은 협정의 모든 면을 위반했고, 도덕적으로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운하 보수를 위해 (미국이) 30억 달러(약 4조3000억원)를 지원해줄 것을 원한다”며 “그래서 나는 ‘그 돈을 중국에게서 받아가지 그러냐’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이 파나마운하를 운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그린란드에 대해서는 중국과 러시아 선박들이 그곳을 누비고 다니도록 할 수 없다면서 그린란드 주민들의 독립 및 미국 편입 의사가 투표로 확인될 경우 그린란드를 자치령으로 두고 있는 덴마크가 그것을 저지하지 못하도록 덴마크에 대한 고율 관세를 도입할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트럼프 당선인은 최근 자신이 고율 관세 부과 구상과 미국으로의 편입 가능성 등을 거론했던 캐나다에 대해서는 군사력이 아닌 ‘경제적 강압’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회견은 지난해 11월 5일 치러진 대선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승리한 이후 두번째 회견이자 전날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대선 결과에 대한 인증 절차가 종료된 뒤 처음 진행한 것이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1/08/202501080007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