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년 만기 미국 국채금리가 1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6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시장에서 30년 만기 미국 국채금리는 한때 약 0.05%포인트(P) 오른 4.86%까지 올라 2023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10년물 금리도 한때 4.624%로 전장 대비 0.029%P 상승해 지난해 5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국채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자신의 공약인 보편관세를 일부 핵심품목에만 적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있지도 않은 이른바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내 관세 정책이 축소될 것이라고 잘못 보도했다"고 반박하면서 국채금리가 올랐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통령 선거 때 모든 수입품에 10% 또는 2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약했다.
지난해 11월 대선 이후 국채금리는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정책 등 보호무역주의가 인플레이션을 재촉발할 것이라는 예상에 오름세를 보여왔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 Fed)는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올해 예상 기준금리 인하폭을 애초 1%P에서 0.5%P로 낮추면서 금리인하 속도 조절에 나설 것을 예고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시장에 대해 "트럼프 당선인이 앞으로 몇개월 동안 금융시장을 어떻게 뒤흔들지를 미리 엿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날 국채금리 급등에는 국채 입찰수요 부진에 따른 공급 압력도 일부 작용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3년 만기 미국 국채 입찰이 직전보다 0.01%P 이상 오른 4.332%를 기록했다. 이는 수요가 기대에 못 미친 셈이다.
PGIM의 채권부문 공동 최고투자책임자 그레고리 피터스는 "엄청난 양의 채권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면서 공급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둔화가 정체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향하면 채권 시장에 더 많은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대선 승리 이후 미국 국채 가운데 인플레이션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장기물이 단기물보다 더 크게 오르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1/07/202501070007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