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트럼프 2기 첫 주한 美 대사로 미셸 은주 스틸 전 하원의원 하마평

뉴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취임이 임박한 가운데 트럼프 2기 정부의 첫 주한미국대사로 재선 연방 하원의원 출신의 한국계 미셸 은주 스틸 전 의원(한국명 박은주) 등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6일 파악됐다.

워싱턴 외교가에서는 스틸 전 의원과 함께 앨리슨 후커 전 국가안보 부보좌관의 이름도 나오고 있고, 한국 외의 국가에서 대사를 지낸 전직 외교관 등도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어 최종적으로 누가 낙점될지 주목된다.

1955년 서울에서 태어난 스틸 전 의원은 1975년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했다. 평범한 주부였던 그는 로스앤젤레스(LA) 폭동사태를 계기로 한국계의 정계 진출 필요성을 절감하면서 정치에 관심을 두게 됐다.

캘리포니아주 공화당 의장을 지낸 남편 숀 스틸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정치권에 입문한 스틸 전 의원은 캘리포니아주 조세형평국 선출위원, 오렌지카운티 수퍼바이저(행정책임자) 등을 역임했다. 이후 2021년부터 4년간 연방 하원의원을 지냈으나, 지난해 11월 선거에서 600여표 차이로 석패해 낙선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선거 직전인 지난해 10월 자신의 SNS에 올린 글에서 스틸 전 의원에 대해 "가족과 함께 공산주의에서 탈출한 미국 우선주의 애국자"라면서 공식 지지하기도 했다.

친(親)트럼프 인사인 마이크 존슨 현 하원의장, 케빈 매카시 전 하원의장 등 공화당 하원 전·현직 지도부도 사적으로 트럼프 당선인에게 스틸 전 의원을 주한미국 대사로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틸 전 의원은 연방정부 부처의 차관 등 정무직에 임명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스틸 전 의원과 함께 거론되는 후커 전 부보좌관은 트럼프 1기 정부에서 북·미 정상회담에 관여했던 인사다.

그는 트럼프 1기 정부 당시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내면서 2기 정부의 여러 외교·안보 직책의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던 로버트 오브라이언 전 국가보좌관의 측근이다. 후커 전 부보좌관은 오브라이언 전 보좌관이 회장으로 있는 미국글로벌전략(AGS)의 선임 부회장이기도 하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달 5일 주중대사에 데이비드 퍼듀 전 연방 상원의원을, 같은 달 16일에 주일대사로 조지 글래스 전 포르투갈 대사를 각각 내정했으나 주한대사는 아직 발표하지 않았다.

워싱턴 한 소식통은 "아직 차기 주한미국대사와 관련해서는 확정적인 논의는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조 바이든 행정부는 필립 골드버그 현 주한미국대사의 퇴직에 따라 한국계인 조셉 윤 전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를 임시 대리대사(Chargé d'Affaires)로 파견키로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본국으로 귀국한 골드버그 대사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윤 전 대표를 대리대사로 파견하기로 했다.

대리대사는 기존 대사의 임기만료 등의 이유로 공석이 되면 임시로 대사직무를 대신하는 고위급 외교관이다. 다만 대리대사는 대사가 아니기 때문에 아그레망(주재국의 임명 동의) 절차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

이에 따라 20일 취임하는 트럼프 당선인이 차기 주한미국대사를 임명하기 전까지 윤 전 대표가 대사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윤 임시 대리대사는 국무부 내부절차를 마치고 이르면 이번 주에 부임할 것으로 전해졌다.

통상 현직 대사가 이임할 경우 공관 차석 대사가 대사대리로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윤 전 대표를 임시 대리대사로 한국에 보내는 것은 이례적이다.

이를 두고 아그레망, 상원 인준 등의 절차로 정식대사를 임명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상황을 고려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임기를 2주일 여 남긴 바이든 대통령의 이번 결정은 미국의 행정부 교체 과정에서 종종 발생했던 주한 미 대사의 장기 공백을 메우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특명전권대사는 대통령이 지명하면 상원의 인준 절차를 밟아야 하기 때문에 부임까지 수개월이 소요되는 만큼 대통령의 대사 지명이 늦어질 경우 '장기 공백'으로 이어지는 것이 불가피하다.

주한미국대사의 공백이 가장 길었던 사례는 오바마 행정부에서 트럼프 1기 행정부로의 정권 이양이 이뤄진 2017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1년 6개월이다.

계엄 및 탄핵 소추 사태로 한국의 정치 상황이 극히 유동적인 상황에서 이런 공백 사태가 발생하면 동맹 관계 관리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윤 전 대표는 풍부한 외교적 경험을 지닌 무게감 있는 인사다.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무부 대북정책대표와 6자회담 수석대표를 겸직한 바 있다. 이러한 이력 때문에 자주 주한 미국대사 하마평에 오르내리기도 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1/07/2025010700058.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