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중동 일대 전면전 조짐 … "확전시 韓 경제 타격 불가피"

뉴데일리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최고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가 이란 영토에서 암살당하면서 중동지역 전면전 우려가 증폭된 가운데 최악의 시나리오는 친이란 무장세력 '저항의 축'의 동시다발 공격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싱크탱크 전쟁연구소(ISW)는 31일(현지시각) 보고서를 통해 현 상황에서 이란이 취할 수 있는 위험한 행동 중 하나는 '저항의 축'을 총동원해 이스라엘에 대규모 드론‧미사일 공격을 가하는 것이라고 관측했다.

'저항의 축'은 이스라엘과 미국을 향한 적개심을 공통분모로 삼아 정치적‧군사적으로 연대한 이란과 그 대리 세력을 칭한다.

이란의 후원을 받는 대리 세력에는 △팔레스타인의 하마스와 이슬라막 지하드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 △예멘의 후티 반군 △시리아 정부군 △이라크의 민병대 카타이브 헤즈볼라 등이 있다.

ISW는 이란이 4월 이스라엘 본토를 공습했을 때와 비슷한 공격을 이번에도 감행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이번에는 이란뿐만 아니라 '저항의 축' 세력들도 동시에 공격에 가담할 수 있다고 봤다.

앞서 이란은 4월1일 시리아 주재 영사관이 이스라엘에 폭격당하자 같은 달 13~14일 이스라엘 본토에 드론 170여기, 순항 미사일 30기, 탄도 미사일 120여기를 쐈다.

ISW가 제시한 가장 위험한 시나리오는 이란이 같은 대규모 공습에서 더 나아가 대리 세력까지 총동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할 경우 이스라엘은 4월보다 더 큰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ISW는 관측했다. 여러 세력이 동시에 공격을 가할 경우 이스라엘이 자랑하는 다층적 방공망이 한계에 부닥칠 수 있기 때문이다.

ISW는 4월 이란의 공격을 이스라엘과 미국이 99%에 가깝게 방어한 것은 이란에서 보낸 드론이 이스라엘에 도달하는 데 몇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 사이에 이스라엘과 미국이 방어 태세를 갖추고 드론을 요격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리적으로 이란보다 가까운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에서 이스라엘을 향해 드론을 무더기로 발사한다면 요격 기회는 훨씬 줄어들 수밖에 없다.

특히나 이스라엘이 친이란 세력의 공격에 중대한 피해를 보게 된다면 양측의 전쟁은 걷잡을 수 없는 수준으로 확대될 우려가 있다.

문제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할 조짐을 보인다는 점이다.

로이터통신은 이란 대리 세력이 이스라엘을 겨냥한 보복을 논의하기 위해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 집결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하마스, 이스라막 지하드, 헤즈볼라, 후티 반군, 헤즈볼라 등 대표들이 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란 최고지도자인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와 이란혁명수비대(IRGC) 고위 간부들이 참석할 예정으로 전해졌다.

이 회의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이란의 한 고위 관리는 "이란과 저항 세력은 테헤란에서 열리는 회의 이후 철저한 평가를 실시해 시오니스트 정권(이스라엘)에 대한 보복의 가장 좋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동에서 전면전이 벌어지면 '글로벌 원유의 동맥'으로 불리는 호르무즈해협과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의 30%를 책임지고 있는 홍해 수에즈운하 등의 봉쇄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글로벌 공급망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중동의 오랜 교전규칙은 이제 없어졌다"며 "중동에서 일종의 억제력이 간신히 유지되고는 있지만, 중동 내 공격이 전면전으로 확대될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다.

국내 외교가와 무역‧정유업계도 긴장하고 있다. 중동 국가간 충돌이 호르무즈해협 봉쇄로 이어지면 유가가 치솟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연간 물동량의 4분의 1가량은 중동 항로를 통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원유는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크면서도 대처하기 힘든 대외요인"이라며 "기업으로서는 비용 상승, 소비자로서는 석유류 제품값 상승으로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지향 아산정책연구원 중동연구센터장은 "우리는 수출이 가장 중요한 나라이고, 에너지의 약 70%가 중동에서 오기 때문에 정세가 요동을 치면 홍해랑 호르무즈해협의 안보도 흔들릴 것"이라며 "중동 국가간 충돌은 우리나라에는 경제적 타격으로 가장 크게 와닿을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4/08/02/2024080200030.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