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초점] 이태원 참사를 논하다 - (1)

물상론

이태원 참사.. 

대한민국의 역대 대형참사가 그렇듯

이태원 참사 또한 비극적이었다.

 

이 당시 주목해야 할 점은 검찰의 대형참사 수사권, 국정원의 간첩수사권이 모두 박탈당한 상황에서 나온 최초의 대형참사였다는 점이다.

 

대한민국의 대형참사는 참으로 기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대형참사가 일어나면 무조건 국민의힘은 인신공양 프레임을 벗어나기 힘들다

 

과연 이 프레임.. 

진짜인가? 설계된 프레임인가?

이 점부터 정확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

 

대형참사의 역사부터 논해야 한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부터 대형참사는 끊이지 않았고

문민정부가 들어서기 직전

특히 그 절정은 김영삼 대통령때 방점을 찍었다.

온갖 참사가 끊이지 않고 대통령이 국민을 재물로 바친다 라는 괴소문까지 돌 정도로

역대 최악의 정권으로 남았다.

 

대형참사의 99%는 간첩사건일 확률이 높다.

역대적으로 대한민국의 뿌리부터 뒤흔든 간첩이 있다는 것인가?

국민의힘은 인신공양에 매료된 악마의 집단인가?

왜 국정원과 방첩사는 이 악(惡)을 발본색원하지 못하는가.. 그들이 악이기 때문인가?

 

매번 프레임은 똑같다

 

대형참사가 일어나면

국민의 분노가 듫끓고

인신공양 프레임이 발동되며

소위 우파라 말하는 정권은 도륙이 난다

그리고 이득을 보는것은 좌파정권이다.

정권이 무너지고 재창출 된다.

 

이 역사가 30년간 무섭게도 반복되고 있다.

국민의 힘은 자성이 없는 말종이라는 것인가?

아니면 이 프레임으로 교묘하게 이득을 취하는 악(惡)이 있다는 점인가

 

그래서 프레임을 뒤집어 보고자 한다.

만약 (if) 이 사건을 일으키는 악의 무리가 있다면

왜 이렇게까지 정권을 뒤집고 나라를 무너트리는지

그 근본을 논해보고자 하는 점에서 이번 글은 시작될 것이다.

 

국가를 만들고 유지하는데는 엄청난 힘이 들어도

한번의 누수가 생기면

무너지는 것은 채 한달이 안걸린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의 사건일 것이다.

 

 

댓글
1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