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푸틴 방북, 日 정부-매체도 예의주시…"북러 군사협력 심화 전망"

뉴데일리

일본 정부가 18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북한 방문과 관련해 무기 거래 가능성 등을 언급하며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매체들도 이번 방북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푸틴 대통령이 18~19일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데 대해 "러-북간 무기와 관련 물자 이전을 포함해 우려를 갖고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러간 군사협력 강화 등으로 일본을 둘러싼 지역의 안보환경이 한층 엄중해졌다고 평가하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완전한 이행을 위해 미국,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기하라 미노루 방위상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핵·미사일 전력 증강을 계속하는 가운데 (러시아가) 기술적·군사적 지식을 전해줄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일본 매체들도 러-북간 군사협력 심화를 예상하면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북한과 러시아가 외교적 고립을 타개하기 위해 서로 접근하고 있다고 짚으면서 "양국의 상호의존 관계가 한층 심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닛케이는 푸틴 대통령이 24년 전 북한을 방문했을 당시와 비교하면 현재는 국제정세가 크게 달라졌다고 평가했다.

신문은 "푸틴 대통령은 2000년 7월 김정은 위원장 부친인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담하고 일본 오키나와에서 열린 주요 8개국(G8) 정상회의에 참석했다"며 "러시아는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일방적으로 병합해 G8에서 제외됐고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서구와 대립하게 됐다"고 전했다.

이어 "러시아는 자국에 대한 제재에 동참하지 않는 '우호국'과 관계를 깊게 하려 한다"며 주요 7개국(G7)이 최근 러시아 동결자산을 활용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로 합의한 상황에서 푸틴 대통령이 방북을 통해 서구를 위협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아사히신문도 러시아가 북한과 밀착하는 배경으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침공을 계속하는 러시아의 국제적인 고립"을 꼽았다. 북한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전적으로 지지하는 국가다.

산케이신문은 두 정상이 이번 만남을 계기로 결속을 과시하며 각각 우크라이나 침공과 핵‧미사일 개발을 둘러싸고 대립하는 서방국가에 대항하는 자세를 내세울 것으로 전망했다.

닛케이는 북한과 관련해 "동맹 관계인 중국이 군사협력을 자제하고 있다"며 "고립 상태가 이어지는 북한에 러시아의 존재는 귀중하다고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북한에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면 러시아가 자국으로부터 포탄을 조달할 필요가 없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며 "(북한이 러시아와) 동맹관계에 가깝도록 조약을 다시 정비해 전쟁이 끝나기 전에 강고한 관계를 만들려 한다는 추측이 있다"고 전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도 17일자 기사에서 "우크라이나 침략을 지속하는 러시아는 북한과 군사 면에서 연계를 깊게 하려는 목적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두 정상 사이에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이 체결될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군사뿐만 아니라 경제 측면에서도 양국의 협력이 심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4/06/18/2024061800220.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