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9·19 남북군사합의를 일방적으로 파기한 뒤 비무장지대(DMZ) 최전방 감시초소(GP)에서 군사적 활동을 재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군 관계자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24일부터 GP에 새로운 감시소를 설치하고 이곳에 병력을 투입해 야간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진지에는 무반동총으로 추정되는 중화기도 배치됐다.
이같은 모습은 지난 2018년 9월 체결된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파괴하거나 철수한 11개 GP 모두에서 확인됐다.
해안에서도 북한의 군사적 움직임이 나타났다. 평소 1개소에 1~2문의 해안포를 개방해왔던 북한이었으나, 현재는 포문을 개방한 장소는 물론, 문 수도 두 자릿수까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남북은 2018년 체결한 9·19 군사합의에 따라 DMZ에서 운영하고 각각 있던 11개 GP 중 10개를 완전파괴했다. 1개씩은 병력과 장비는 철수하되 원형만 보존했다. 이에 따라 DMZ 내 GP는 우리나라가 50여개, 북한은 150여 개가 남아 있다.
그러나 지난 23일 9·19 군사합의를 전면 파기한 북한이 병력과 장비가 철수한 GP를 복원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인 것이다. 북한을 감시정찰하고 있던 우리 군은 동부전선 소재의 한 GP를 카메라와 열상장비로 촬영해 이러한 북한군 동향을 포착했다.
군 당국은 북한이 시간을 들여 감시소 후사면에 막사까지 설치하는 등 당분간 군사적 활동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물러섰던 전선을 다시금 전진시키는 것과 다름없다. 최전방 지역의 활동을 재개함으로써 우리 군을 압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국방부는 27일 '북한의 9.19 군사합의 파기 선언 관련 입장'을 통해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즉각, 강력히, 끝까지 응징할 수 있는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국방부는 "북한은 그동안 '9.19 군사합의'를 의도적이고 반복적으로 위반해왔다"며 "24일부터 일부 군사조치에 대한 복원 조치를 감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군은 북한의 도발행위를 예의주시하면서 강화된 한미연합방위태세를 기반으로 북한의 복원조치에 대한 대응을 즉각적으로 이행할 만반의 준비를 갖춰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세계 각국의 지속적인 경고에도 북한은 지난 21일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감행했다. 이에 상응하는 조치로 우리 정부는 9.19 군사합의의 제 1조 3항을 효력정지했다.
군사분계선(MDL) 상공에 설정된 비행금지구역이 해제됨으로써 우리 군의 정찰자산은 22일 오후 3시를 기해 군단·사단급 무인정찰기의 MDL 인근 감시정찰활동을 재개했다.
북한은 그러나 23일 국방성 성명을 통해 "지금 이 시각부터 우리 군대는 9·19북남군사분야합의서에 구속되지 않을 것"이라며 "북남군사분야합의에 따라 중지했던 모든 군사적 조치들을 즉시 회복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또한 북한은 "지상과 해상, 공중을 비롯한 모든 공간에서 군사적 긴장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취했던 군사적 조치들을 철회하고 군사분계선 지역에 보다 강력한 무력과 신형 군사장비들을 전진배치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그러면서 9.19 군사합의가 "대한민국 것들의 고의적이고 도발적인 책동으로 인해 이미 사문화돼 빈껍데기로 된 지 오래"라고 주장하며 그 책임을 우리나라로 넘겼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3/11/27/202311270015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