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기업은행 대구이전, 원팀으로 대응해야

profile
whiteheart

기업은행 본점 유치를 위한 대구시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 7월 국민의힘 지도부에 기업은행 대구 이전 추진을 요청한 데 이어 최근 기업은행 유치 TF를 설치하고 본점 이전을 추진 중이다.

기업은행 측에는 '법원과 검찰청 등의 이전 부지를 제공하겠다'는 달콤한(?) 제안도 해 놓은 상태다. 특히 내년 국민의힘 총선 공약에 중소기업은행을 대구로 유치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잡았다.

본점유치를 위한 4단계 추진전략은 군사작전을 방불케 한다. 우선 연말까지 지역 내 공감대를 형성하고 내년 초부터 전방위 홍보로 전국적 이슈화시킬 예정이다. 총선을 앞두고는 여당의 중앙 공약화, 야당의 지역공약에 반영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는 전략이다. 이후 모든 가용수단을 활용해 법 개정과 이전을 확정 짓는다는 복안이다.앞서 대구시는 총선 이후 본격화될 2차 공공기관 이전을 대비, 23곳을 유치희망기업으로 선정한 바 있다. 그 중 기업은행을 꼭 집어 '찜' 한데는 그 이유가 분명하다. 직원 수만 1만 2천여 명으로 산업은행보다 3배 가까이 덩치가 큰 데다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체계가 앞으로 국가 주요 정책이 될 가능성이 큰 만큼 지역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대구는 중소기업이 전체 업체의 99.95%를 차지하는 등 대표적 중소기업 도시인 데다 전체 근로자의 97%가 중소기업에 근무한다는 점에서 더 절실하다. 이전 시 지역 소재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지원과 해외판로 개척 및 전문 컨설팅, 신규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지방세수 증대가 900억원 대에 이르는 등 실질적인 기대효과도 상당하다.

"곧 대대적인 홍보에 들어가 총선 이후 2차 이전 관련 발표가 시작되면 대구시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총력을 쏟고 있다. 동구 혁신도시가 10개 혁신도시 중에 만족도도 높고 지역 인재 채용률도 제일 높고 위치도 좋아 최상위권이다. 이전기관과 상당한 공감대를 형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시의 자신감이 반갑기만 하다.

물론, '본점을 서울에 둔다.'라는 기업은행법 개정 등 수많은 난제가 쌓여 있다. 본점 유치에 속도를 낼수록 갈등과 반발도 커질 게 뻔하다. 벌써 기업은행 노조는 '대구는 안된다'는 성명을 내면서 반발하고 있다.

지난달 12일 '기업은행을 정치 무대에 올리지 말라'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하고 기업은행의 대구 이전에 반대했다. 김성태 중소기업은행장도 지난달 24일 국감장에서 "현장에서 지원할 수 있는 총지휘센터인 기업은행 본부가 지역으로 내려가는 문제는 '중소기업 지원'이라는 관점에서는 걱정이 된다"고 우회적으로 반대 뜻을 밝혔다.

부산, 경남, 대전 등 타 시도 역시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 부산은 금융중심지 육성을 위해 모든 정책금융기관의 이전을 요구하고 있고 대전도 지역은행이 없다는 이유로, 경남도 비수도권 중 중소기업 최다 집적해 있다는 근거를 대고 있다. 그동안 기업은행 이전 의제는 대구시가 이끌어왔지만, 지역정치권까지 힘을 보태야 하는 까닭이다. 여야가 따로 있어서는 안 된다. 극한 대립을 펼치더라도 기업은행유치 문제만큼은 원팀이 되어야 한다.

 

이하생략

매일신문 최창희 기자

https://naver.me/5uiIdxP7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