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6·25 때 전사한 남편과 합장해 달라"… 호주 참전용사 부인 유언 이뤄졌다

뉴데일리

6·25전쟁에 참전했다 전사한 호주 참전용사 남편과 합장해 달라던 부인의 애틋한 바람이 4년 만에 이뤄지게 됐다.

국가보훈부는 21일 오전 10시 부산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된 호주 참전용사 찰스 그린(Charles Green) 중령 묘역에서 배우자 올윈 그린 여사(Olwyn Green) 유해 합장식을 주한 호주대사관 주관으로 거행한다고 밝혔다.

합장식에는 올윈 그린 여사의 외동딸인 앤시아 그린(Anthea Green)을 비롯한 유족, 윤종진 국가보훈부 차관, 캐서린 레이퍼(Catherine Raper) 주한 호주대사, 폴 라카메라(Paul LaCamera) 유엔군사령관, 사이먼 스튜어트(Simon Stuart) 호주 육군참모총장, 박정환 육군참모총장 등이 참석한다.

올윈 그린 여사는 1950년 6·25전쟁에 참전한 찰스 그린 중령의 부인이다. 그린 중령은 1950년 9월28일, 호주 정규군인 호주 육군 제3대대의 첫 지휘관이었다.

그가 이끈 호주 육군은 영연방 제27연대에 소속돼 '연천전투' '박천전투'에서 승리했고 1950년 10월29일 '정주전투'에서 또 한 번의 승전고를 울리면서 아군의 진격에 큰 공적을 세웠다.

하지만 1950년 10월30일 그린 중령의 텐트 주변으로 북한군이 쏜 포탄이 떨어졌고, 파편에 복부를 관통 당하면서 30세 나이로 전사했다. 보훈부는 이러한 공로로 그린 중령을 2015년 11월의 전쟁영웅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70여 년 전 남편을 여읜 올윈 여사는 2019년 11월, 96세를 일기로 숨을 거두면서 "남편의 묘역에 합장해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젊은 시절 생이별한 남편을 평생 잊지 못했던 것이다.

실제로 올윈 여사는 1993년 <아직도 그대 이름은 찰리>라는 제목의 회고록을 집필할 만큼 남편을 그리워한 것으로 알려졌다. 찰리는 찰스의 애칭이다. 해당 회고록은 호주 전쟁문학계에서 인정받았으며, 2006년 '호주정부 국민훈장'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올윈 여사가 숨을 거둘 당시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생의 마지막 바람은 이뤄지지 못했다.

이에 보훈부와 주한 호주대사관은 올윈 여사의 애틋한 마음을 담아 '조금 늦은' 합장식을 거행하기로 했다.

윤종진 국가보훈부 차관은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남편을 평생 그리워하다 생을 달리하신 올윈 여사의 유언이 작고하신 지 4년이라는 시간이 지나서야 이뤄지게 된 것을 무척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이제라도 대한민국의 품에서 남편과 함께 영면에 드시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3/09/20/2023092000130.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