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단독] ‘중소기업 직원’이라던 김기현 아들, 반년새 법인 2개 설립

익명_62037551 (175.192)

이미지 1.jpg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의 아들 김모 씨가 수십억대 ‘먹튀 사기’ 의혹을 받는 회사 ‘언오픈드’의 최고운영책임자(COO)였던 사실이 드러난 가운데, 김 씨가 지난 연말부터 4개월 사이 법인 2개를 새로 세운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은 가상자산 청문회에 이찬기 언오픈드 대표와 김씨를 증인으로 신청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30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김씨는 지난해 12월 29일 컴포저블 스튜디오라는 새 법인을 설립했다. 김 씨가 언오픈드의 NFT 다바 프로젝트의 총 책임자로 교체되기 약 한 달전 즈음이다. 등기부등본을 열람한 결과 컴포저블 스튜디오의 설립목적은 소프트웨어 개발, 정보서비스업 등이다. 김 씨가 언오픈드의 컴포저블 NFT 기술을 바탕으로 올해 말 B2B솔루션 서비스를 런칭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던 만큼 법인 이름과 설립목적을 살펴봤을 때 연관성을 추정할 수 있는 대목이다.

김 씨는 그로부터 4개월여 후인 4월 7일 주식회사 제피드를 또 다시 설립했다. 이 회사 역시 소프트웨어 개발과 공급업 등을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다. 공교롭게 두 회사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한 공유오피스에 주소를 두고 있었다.

주소지가 등록된 공유오피스를 방문해 확인해 본 결과 두 회사는 사실상 주소만 빌려서 사용하는 형태였다. 공유오피스 관계자는 “김 씨가 입점은 하지 않고 주소만 올려놓는 ‘비상주회사’ 서비스를 자신의 명의로 이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공유오피스에서는 월 이용료로 7만7000원을 내면 ‘비상주회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변창호 코인사관학교의 운영자인 변창호 씨는 “코인 프로젝트는 수시로 흥하고 망하다 보니 언제든 꼬리를 자를 수 있게 법인을 분리하거나 투자만 한 척하고 차명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며 “그래서 그런 걸 대비해서 법인들을 많이 구비해두는 게 일반적”이라고 설명했다. 추후에 있을 코인 프로젝트를 염두에 두고 법인을 설립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 11일 언오픈드에 재직한 아들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자 “회사 주식을 1주도 보유하지 않은 채 봉급받고 일하는 회사원일 뿐”이라며 “중소 벤처기업에 직원으로 취업한 게 뭐가 잘못된 일인가”라고 반박한 바 있다. 하지만 김 대표의 아들은 언오픈드의 프로젝트 리더이면서 반 년새 두개의 법인을 설립한 기업가였던 셈이다.

김남국 의원 코인의혹 조사단을 역임한 홍성국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국내 최대 블록체인 전문투자사 자회사의 최고운영책임자로 근무하고, 관련 법인을 반년 사이에 2개나 설립하는 걸 보면 일반 회사원이라 볼 수 있겠냐”면서 “아들의 먹튀 논란 해소에 김기현 대표가 명확히 사실관계를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위지혜 기자([email protected])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151975?event_id=009_1688111387635

댓글
2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