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 입장에서 경찰국이 신설된게 좋은일인지 안좋은일인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
총
8개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 전체
-
정치
(242183)
- 뉴스 (48750)
- 토론 (7425)
- 홍도 (3652)
- 여론조사 (1282)
- SNS (3019)
- 유머/짤방 (2870)
- 정보 (554)
- 팩트체크 (83)
-
인증
(441)
- 정부 (248)
- 국힘 (1118)
- 더민 (513)
- 정의 (62)
- 공지 (55)
- 해외 (4267)
-
홍스트라다무스 닮아가는중
-
좌파에서 계엄 했어도1
-
기각이 되어도5
-
정규재 이 사람은 어쩌다 맛이 갔지?8
-
하는짓들 보면
-
나경원 : 아..아..., 그 쫌 오해세요5
-
김거희 이인간도10
-
민주당 국회의원들도 탄핵해버리고 싶다1
-
탄핵선고가 이틀 남았는데,1
-
민주당, 尹복귀시 '불복,재탄핵'7
-
가발이는1
-
한동훈은 끝난거 같고
-
인용5 각하3 예상5
-
홍카 페북 업7
-
윤석열이 탄핵되는게 국힘한테 유리함3
-
찢2심도 뒷골 얼얼한데 헌재도 찢주당 로비 안받았을거라고는 못하겠네.6
-
대한민국에 보수란건 없고 중도좌파. 좌파, 극좌파만 있는거같음
-
이재명과 협치를 한다는 건 이재명을 키우는 꼴임2
-
만일 날치기 파면이 벌어지면 사람들이 복수의 표를 행사해줄지...
-
검색어 순위에 장제원이 왜 갑자기 나오나했더니
-
(미국) 트럼프: 나는 레이건과 처칠을 합친 것보다 더 낫다3
-
헌재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주요 쟁점3
-
양비론이라고 비난 할 수도 있지만4
-
이 토론은 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 토론인가18
-
지난 경선부터 지금까지의 국면은 한 마디로 요약 가능함6
-
인용/기각 둘 중 하나일텐데1
-
(미국) 빌 게이츠 발언에 난리난 미국5
-
내가 예전에 장제원이 역할해줄만하다고 여겼었는데1
-
이익 최우선인 개뱃지들 사이에서
-
영국에서 다시 콩코드가 나온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1
잘은 모르겟지만 검찰이 법무부의 통제를 받는것처럼 경찰도 행안부의 견제를 받으니깐 존재의 이유는 되겠죠. 아무래도 경찰은 유일하게 견제를 안받던 집단이라 필요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검찰처럼 권력의 하수인이 되는건 아닌지 그게 걱정입니다
잘은 모르겟지만 검찰이 법무부의 통제를 받는것처럼 경찰도 행안부의 견제를 받으니깐 존재의 이유는 되겠죠. 아무래도 경찰은 유일하게 견제를 안받던 집단이라 필요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검찰처럼 권력의 하수인이 되는건 아닌지 그게 걱정입니다
권력의 하수인이라고 하기엔 검찰 자체의 저항도 심한걸 본다면 검찰은 뭔가 따로봐야한다는 느낌이 강하네요
ㅇㅈ
모르겠어요 2018년 총선 참패 당시에 좌파들한테 연동형비례제냐 공수처냐 이지선다 강요당했을 때 떠오를 만큼 어렵습니다. 결과적으론 연동형비례제가 180석을 내줘버리게 만든 것이니 타격이 더 컸지만요. 과거 사례를 봤을 때는 제도냐 기관이냐 따졌을 때 신설기관보다 기존 법리를 튼 제도가 훨씬 강력하게 작용했어요.
2 2 2 2 2
국민들 입장에서는 이래되나 저래되나 변하는건 없음. 근데 지금 중요한거는 정부의 명령과 통제를 받아야 하는 공무원 집단들이 단체로 집단행동 하고 있다는건 진짜 큰 문제임. 점점 정부를 X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거임. 문재앙 때 검사들 집단 행동하고 또 판사들 집단행동하고.. 하는걸 경찰들이 배워서 따라하는거임. 이런것들이 학습된다 치면은.... 제일 걱정되는게 바로 군인임. 군인이 집단행동하면 나라가 어떨까???
검수완박을 폐지해야 되는데 경찰을 검찰처럼 하려고 하니 나타나는 부작용 개인적으로 경찰은 권한을 많이 주지 말아야 된다고 생각함
설치의 필요성을 잘 모르겠습니다. 이미 검찰이 지배하는 세상인데 경찰의 권한을 더 축소할 필요가 있나요? 홍준표 대표처럼 검찰 권한을 대폭 축소하면서 설치하는 거면 모르겠지만 현 상태에서 경찰국 설치는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