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강 1차시
- 국호의 선택과정과 천도지 선정과정을 각각 설명할 수 있다.
<고려’ 국호의 유지>
-태조 즉위교서: 국호를 그대로 ‘고려’로 쓰기로 함
-1392년 8월 명에 보내진 조림 사절의 외교문서에 이성계의 직함을 국 왕 대신에 권지고려국사로 표기함
-고려라는 국호를 그대로 쓴 이유 : 급격한 변혁에서 초래할 수 있는 정치・사회적 불안정 대비 : 고려 왕조에 대한 정통성과 향수에 대한 부담감
<국호의 조선으로의 변경>
-조림이 귀국하면서 가져온 명 예부의 자문에 국호 개정에 대한 내용이 있어 국호 제정 논의
<국호의 선택과정>
-명 예부 자문을 받고 국호 개정 논의: 기로・백관, 도당에 모아 새 국호 논의
-‘조선朝鮮’과 ‘화령和寧’
[관련 사료] - 신이 가만히 생각하옵건대, 나라를 차지하고 국호(國號)를 세우는 것은 진실로 소신(小臣)이 감히 마음대로 할 수가 없는 일입니다. 조선(朝鮮)과 화령(和寧) 등의 칭호로써 천총(天聰)에 주달(奏達)하오니, 삼가 황제께서 재가(裁可)해 주심을 바라옵니다. [『태조실록』 권2, 태조 1년 11월 29일 병오 1번째 기사]
※화령: 1369년(공민왕 18) 화주목(和州牧)에서 개칭된 지역명으로 이성계 의 출생지이자 외할아버지의 고향인 이유로 채택된 것으로 보인다. 화령은 1393년(태조 2)에 다시 영흥(永興)으로 바뀜
[관련 사료] - 동이(東夷)의 국호(國號)에 다만 조선(朝鮮)의 칭호가 아름답고, 또 이것 이 전래한 지가 오래 되었으니, 그 명칭을 근본하여 본받을 것이며, 하늘을 본받아 백성을 다스려서 후사(後嗣)를 영구히 번성하게 하라. [『태조실록』 권3, 태조 2년 2월 15일 경인 1번째 기사]
※ 조선: 단군, 기자, 위만
※ 서긍, 『고려도경』, 기자의 교화, 화풍, 당대 중국 황제의 은혜
-1392년 11월 한상질을 보내 두 국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주기를 요청
-명 태조 ‘조선’ 지정, 1393년 2월 한상질 예부의 자문(외교문서)가지고 귀국
-1393년 2월 15일, 국호를 조선으로 개칭함
-국호를 둘러싼 조선의 외교정책 : 실리를 위한 명분 제공
-국호의 선택까지 명에 의뢰한 데는 공민왕 사후 경색된 양국관계와 왕조교체에 따른 어려움을 풀기 위해 명과의 외교적 마찰을 최소화 해 야 하는 필요성에 따른 것
-1393년 2월 15일 새 왕조의 국호가 ‘조선(朝鮮)’으로 결정
<조선의 의미>
-『동국여지승람』 : “해가 일찍 뜨는 동방의 나라”라는 의미
-최남선 : “땅이 동방에 있어 날 샐 때 햇볕이 맨 먼저 쬐이는 곳”
-청구(靑丘), 진단(震檀): ‘동방의 땅’ 혹은 ‘동방의 나라’라는 뜻
<태조의 천도 의지>
-개성은 고려의 뿌리가 깊이 박혀있는 곳으로 새 국가의 면모와 인심을 일신할 새 도읍의 건설이 필요했음
-즉위 26일 만인 8월 13일에 도평의사사에 ‘한양漢陽’으로 천도할 것을 명령
-1393년(태조 2) 정월 태조가 친히 공주 계룡산의 형세를 보기 위해 출발
-천도가 바로 추진되지 않았는데 개성에 자리잡은 중신들이 천도의 의지가 약했던 것으로 이해
<천도지 선정 과정(1)>
-1393년 2월 계룡산에 도착하여 신도의 산수를 살피고, 조운・교통의 편부, 종묘・사직・궁전・시장이 들어설 자리 측량
-김주, 박영충, 최칠석에게 신도 건설 감독 → 공주 계룡산 신도 역사 시작
-1393년 12월 경기좌우도도관찰사 하윤의 상언에 따라 신도 역사 혁파 : 풍수지리상 천도하기에 마땅치 않은 지역
<천도지 선정 과정(2)>
-다음 천도예정지로 무악毋岳 선정 → 풍수지리를 이유로 결정짓지 못함
-다시 의논을 명하였으나, 의견이 분분하고 천도를 바라지 않는 경향
-태조가 남경(한양)의 지세를 살피고 왕사 자초(무학)에게 자문을 구한 뒤 재상들에게 의논케 하니 적합한 지역으로 결정 → 한양으로 도읍 결정
14강 2차시
- 고려와 조선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적 특성(지배층)>
-고려 : (신라와 비교하여 개인의 능력을 중시했지만) : 가문 중시, 귀족화된 관료 중심의 사회 (호족-문벌귀족-무신-권문세족-신진사대부)
-조선 : (고려와 비교하여) 개인의 능력 중시, 양반 중심의 사회
⇒ 고려~조선: 문무양반사회 동일, 세력교체(권문세족→신진사대부)
※ 가장 중요한 것은 왕조의 교체(역상혁명으로 표현된 그 의미 파악)
<통치제도(1)>
-공통점
1) 서경(署經)과 간쟁을 운영하여 왕권의 전제화를 견제
2) 행정 실무가 6조 체제로 운영
3) 합좌기구 존재: 고려-도병마사(도평의사사), 조선-의정부
-차이점 : (전체적으로 보면) 고려에 비해 조선 왕조의 왕권이 더 강화 : 왕권뿐만 아니라 신권 또한 신장되었음
<통치제도(2)>
고려 |
조선 |
도병마사 → 도평의사사 |
의정부 → 비변사 |
6부(이·병·호·형·예·공) |
6조(이·호·예·병·형·공) |
국왕 관련 업무: 중추원 |
국왕 관련 업무: 승정원 |
백관 감찰, 탄핵: 어사대 |
백관 감찰, 탄핵: 사헌부 |
국왕, 봉박, 서경: 중서문하성 낭사 어사대+낭사=대간: 청요직 |
국왕에 대한 봉박, 서경: 사간원 |
삼사(재정·회계 기관) |
삼사(언론·학술 관청) |
지방장관(각 도 장관): 안찰사 |
지방장관(각 도 장관): 관찰사 |
<지방행정제도>
-공통점
1) 지방관 파견을 통한 중앙집권화
2) 지방 세력 통제책 : 고려-사심관·기인, 조선-유향소·경재소
-차이점
|
고려 |
조선 |
행정구역 |
5도(행정) 양계(군사)의 이원체제 |
전국을 8도로 일원화 |
지방관 |
파견 여부에 따라 주현과 속현 |
모든 군현에 지방관 파견 |
향리 |
지방 향리세력 강성 |
지방 아전 전락 |
특수행정구역 |
향·소·부곡의 존재 |
향·소·부곡 소멸 → 면·리 제도 정착 |
지방 통제 |
지방연고 고관 지방 통치: 사심관 |
유향소 |
<관리임용제도>
-공통점
: 능력에 따라 관리를 선발하는 과거제와 문음의 혜택을 받는 음서제 병용
-차이점:제도의 운영에서 차이를 보임
1) 조선시대 과거는 문과, 무과, 잡과로 나눠 실시
고려시대 무과는 말기(공양왕) 시작
2) 조선시대 승려를 선발하는 승과 폐지 → 억불정책
3) 음서제도
:고려- 5품이상 관리의 자손(양측적 혜택), 고위 관직 진출 용이
조선- 2품이상으로 제한, 한 사람의 자손에게만 혜택, 고위 관직 진출 제한
<토지제도>
-고려 : 전시과- 문무관료, 직역 부담자에 대한 수조지 분급을 규정한 토지 제도. 곡물을 재배하는 전지와 땔나무를 공급해주는 시지를 아울러 분급
-조선 : 과전법- 경기도에 있는 토지로 한정하여 관리들에게 수조권 지급 → 직전법(현직 관료) → 녹봉만 지급. 수조권 제도 폐지
<사상문화>
-고려: 불교 중심의 사회이나 도교나 풍수지리사상 등 다른 종교와 이념도 폭넓게 수용 ⇒ 사상의 다양성
-조선: 유교(성리학) 중심의 사상의 폐쇄성, 숭유억불정책 ⇒ 사상의 획일성, 주자성리학 이와 이단시, 사문난적
14강 3차시
- 고려왕조가 갖는 역사적 위상을 삼한일통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고대 문화의 극복:중세사회의 성격>
-지방 호족이 새로운 사회를 추구하며 신라의 진골 중심의 폐쇄적인 사회를 개혁하면서 새로운 문벌 귀족 사회 형성
-유교적 정치 질서를 중시하여 신라 정치제도보다 진전하여 행정적 기능이 중시되고 교육, 과거 제도가 정비됨
-중세 문화 발달: 혈족적·종교적 성격을 탈피하여 고대 문화의 모순을 극복
-당·송의 중국 문화를 수용하면서도 독자적인 특성을 발전
-지방호족이 문화의 주인공으로 참여하면서 지방문화의 성격이 보다 뚜렷
<민족의 재통일>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은 단순한 왕조 교체가 아니라 고대 사회에서 중세 사회로의 전환 의미
-북진 정책과 북방 민족과의 항쟁 등을 통해 자주적 통일
-다양한 종교와 사상의 수용: 후삼국을 통합한 후 옛 고구려, 백제, 나아가 발해의 인적·물적 자원을 흡수하여 새로운 민족 문화 발전
<삼한일통의식>
-국호: ‘고려高麗’
-고구려의 넓은 영토를 되찾아야 한다는 ‘구토회복 의식’
-건국자 왕건 본인이 고구려 후예 자처
-서경(고구려 수도 평양) 중시
-발해에 대한 친척의식, 발해 유민의 포용
<삼한일통형성>
-‘삼한’이라는 민족체의 동질성 + ‘일통’의 당위성을 인식
-사회 갈등이 심화된 신라말 강화 → 민족 내 대립 극복과 평화에 대한 기대
-고구려 계승 이념을 표방하면서 후삼국을 통일할 이념적 당위성으로 내세움
-통일신라의 ‘일국삼통一國三通’ 의식 활용
-다원적 요소, 층위 서로 대립·경쟁, 의식과 제도로 공존, 소통·교류하는 사회
다 끝났는데 만약 시험에서
고려와 조선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쓰시오!!
하면 맨붕 올 것 같은데 ㅋㅋㅋ
엥 그게 젤 쉬운문제 아닐까 ㅋㅋㅋ
뭐라고 하지?
차이점은 위에 잘 정리되어 있네. 저기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거 골라서 써
불교국가와 유교국가의 차이라든지 조선시대와서 음서폐지한거라든지 도읍천도한거라든지 ㅇㅇ
공통점은 한민족의 통일국가였고 왕권국가였고 이런거 ㅇㅇ
위에 잘 정리되어 있으니 저기서 중요하다 생각하는거 골라서 잘 기억해둬
오 댕큐!!
저때 조선이 진짜 조선..
고려 경제 개토나온다 전지 시지 진짜 만든 놈 후드려패야함
ㅋㅋㅋ
나중에 영국에서 엘리자베스 2세가 급작스럽게 붕어할 때 태자 찰스가 왕위를 대행(?)하면 언론에서 권지영국국왕사로 소개되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