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스타들의 '나 혼자 산다'와 달랐다…1인 가구의 진짜 민낯

즐풍목우0

1인가구 비중이 전체 가구의 3분의 1을 넘어섰다. 1인가구 대부분은 이른바 'MZ세대‘로 불리는 청년층이나 70대 이상의 노년층이다. 소득‧주거형태‧만족도 등이 전체가구 평균과 비교했을 때 모두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로 본 1인가구의 민낯은 미디어에 노출되는 ’나 혼자 산다‘ 속 나홀로 가구의 삶과는 괴리가 컸다.

1인가구 68%는 연소득 3000만원↓

 

1인가구 증가 추이. [자료 통계청]

1인가구 증가 추이. [자료 통계청]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 통계로 보는 1인가구’에 따르면 지난해 1인가구는 716만6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33.4%를 차지했다. 전체 가구 중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엔 20%였는데 꾸준히 늘었고,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29세 이하가 1인가구의 19.8%로 가장 많았다. 70세 이상(18.1%), 30대(17.1%)가 뒤를 이었다.

지난해 1인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2691만원이다. 취업자가 늘면서 전년보다 11.7% 증가했지만, 전체 가구 연평균 소득(6414만원)과 비교하면 42% 수준에 불과하다. 또 1인가구의 3분의 2가 넘는 67.7%는 연간 소득이 300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연 소득이 1000만원 미만인 비중이 21%에 달했다. 전체 가구로 보면 연 1000만원 미만 소득 가구의 비중은 6%에 불과하다.

 

 

1인가구 월세 가장 많이 산다


소득과 가구원이 모두 적다 보니 1인가구는 지난해 월평균 140만9000원을 지출해 전체 가구(249만5000원)의 56.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의 지출 품목 비중을 따져봤을 때 주거‧수도‧광열이 18.4%로 가장 높았다. 다시 말해, 주거비에 가장 많은 돈을 썼다는 의미다. 주거비보다 식료품‧외식 지출 비중이 더 높은 전체 가구와 가계부 형태가 달랐다.

2020년 기준 1인가구의 42.3%는 월세로 거주 중이다. 혼자 사는 이들에게 월세가 가장 보편적인 거주 수단이다 보니 주거비 지출 비중도 높았다는 풀이가 나온다. 자가(34.3%), 전세(15.5%)가 뒤를 이었다. 특히 29세 이하 1인가구의 64.1%는 월세로 살고 있었고, 30대와 40대의 월세 비중도 각각 45.6%, 45.4%에 달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email protected]

지난해 전체 가구로 따지면 51.9%가 아파트에 거주했는데 1인가구에겐 아파트가 가장 흔한 주거 형태가 아니었다. 1인가구는 다가구단독주택 등 단독주택 거주 비중이 42.2%로 가장 많았다. 고시원 등 주택 이외 거처에 사는 비율도 11.3%에 달했다. 상대적으로 주거 환경이 열악하다는 뜻이다.

만족도 더 낮아…앞으론 더 늘어난다


소득‧주거형태뿐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만족스러운 상황이 아니었다. 올해 진행된 사회조사에서 가족관계에 만족한다는 응답 비중은 1인가구 57.7%로 전체(64.5%)보다 6.8%포인트 낮았다. 친척‧친구‧이웃 등 인간관계에 만족하는 응답자 역시 1인가구(46.7%)가 전체(52.8%)보다 6.1%포인트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1인가구 비중이 2030년엔 35.6%, 2050년엔 39.6%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1인가구의 모습도 바뀔 예정이다. 노년층 비중이 점차 높아진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라 1인가구 구조도 바뀌는 것이다. 2050년엔 1인가구 중 7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42.9%에 달할 전망이다.

세종=정진호 기자 [email protected]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https://v.daum.net/v/20221207120045648

댓글
1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