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미국 역사 관련 제목부터 땡기는 책 발견ㅋㅋㅋ

profile
ROTHSSHVILI

알려지지 않은 미국 400년 계급사(양장본 HardCover)(원서/번역서 : White Trash) | 낸시 아이젠버그 | 살림-  교보문고Historian Nancy Isenberg takes closer look at class, status in 'White  Trash' | TribLIVE.com

 

근데 무려 700페이지가 넘어서 이거 읽을 엄두가 안나는게 함정;; 

 

Q&A with Nancy Isenberg | C-SPAN.org

 

아래는 당장 아쉬운대로 책 소개 언론 기사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4/13/2019041300091.html

 

미국 백인 주류 사회가 같은 백인인 하층민을 부를 땐 더 잔인하고 모욕적인 표현을 쓴다. 백인 쓰레기라는 뜻의 화이트 트래시(white trash), 햇볕에 그을려 목이 빨갛게 부푼 남부 지역 노동자인 레드넥(redneck), 이동 주택을 타고 떠도는 트레일러 트래시(trailer trash) 등 온갖 멸시의 표현이 동원된다. 백인종의 수치라는 경멸적 시선이 그 속에

 

역사학자인 저자는 이런 멸시의 기원을 찾기 위해 청교도들이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신대륙으로 이주하던 식민지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저자는 독립운동사에 등장하는 '평등하고 기회로 충만한 미국' 이미지는 조작이라고 단언

 

영국의 식민지 건설자들에게 신대륙은 자국의 가난뱅이와 범죄자 등을 흘려보낼 하수구이자 쓰레기 처리장이었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사회 통합이라는 신화 아래 잊혔던 16세기 이후 400년간의 미국 하층민 삶을 복원

 

우생학이 지배하던 19세기 미국에선 열등한 인간을 처형하자는 극단적 주장이 공공연히 제기됐다. 미국인들은 아프리카에서 끌려온 쿤타 킨테 가계(家系)를 다룬 실화 소설 '뿌리'에 열광했는데, 작가가 흥행을 위해 지어낸 거짓 이야기임이 들통났다. 혈통에 대한 미국인의 집착이 빚은 해프닝이라고 저자는 설명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889752.html

미국이 누구에게나 평등한 기회의 땅이라는 ‘아메리칸 드림’의 위선과 ‘계급 없는 나라’라는 신화의 허구성을 치밀하게 폭로하는 책

 

미국에서 ‘백인 쓰레기’는 무례·무지·무능하고 신분 상승의 의지가 없이 반골 기질이 넘치는 골칫덩이 백인 빈곤층

 

아이젠버그는 미국 역사를 통틀어 멸시받고 착취당하고 버려져온 백인 하층민의 연원과 시대별 양태에 주목해 미국판 ‘백인 카스트’의 실체를 드러내보인다.

 

백인 쓰레기의 역사는 미국이 독립하기 훨씬 전, 영국 식민지 시절인 1500년대부터 시작됐다. 영국은 황량한 신대륙 식민지를 자국의 범죄자·부랑자 등 사회에 위험한 낙오자들의 유폐지로 여겼다. 본토의 계급 차별이 식민지에 그대로 이식됐다. 철저히 소모품 취급

 

미국의 주류 지배 집단은 백인 쓰레기들을 추방, 처형, 심지어는 다윈의 ‘적자생존’을 차용한 사회진화론과 우생학 논리에 따라 단종시켜야 할 폐기물로 취급해 왔다.

 

‘백인 쓰레기’는 식민지 이주 초기 뿐 아니라 신생국 독립, 남북전쟁, 국가 재건, 대공황, 경제 부흥기, 그리고 미국이 초강대국으로 우뚝 선 21세기에도 여전히 존재하고 재생산

 

금수저이자 부동산 재벌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지지층이 바로 이들이란 사실은 얼핏 역설 같지만, 이 책을 보고 난 뒤엔 씁쓸하게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갈수록 능력주의 신화로 족벌세습의 진실을 가리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우화로 읽히는 까닭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19041160451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것을 자명한 진리라고 생각한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났고, 조물주는 몇 개의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부여하였으며….” 1776년 작성된 미국 독립선언문은 이렇게 시작한다. 이를 근거로 미국은 계급이 없고 누구에게나 기회가 공평하게 부여된 평등사회라고 주장해왔다. 각자의 노력에 의해 부와 행복을 성취할 수 있다는 ‘아메리칸 드림’이 이를 대변한다.

정말 미국은 평등한 사회인가. 낸시 아이젠버그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 역사학과 교수는 《알려지지 않은 미국 400년 계급사》에서 그렇지 않다고 단언한다. 노예로 팔려온 흑인뿐만 아니라 백인 중에서도 가난한 사람들은 일찍부터 다른 백인과는 다른 ‘별종’이나 ‘낙오자’로 취급받았고, 잘살아보겠다는 의지조차 없는 무능한 인간으로 치부됐다는 것

 

이 책은 흑인과 소수 인종에 주목했던 다른 책들과 달리 미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면서도 세력가나 주류 사회에 밀려 철저히 무시돼온 가난한 백인의 역사에 주목한다. 이들에게 붙여진 수많은 낙인은 경제적 하층계급에 대한 차별이 얼마나 심하고 다양했는지 보여준다. 느림보, 폐기물, 클레이이터(clay-eater), 크래커, 레드넥, 트레일러 쓰레기, 무단토지점유자, 힐빌리, 백인 깜둥이, 타락자, 습지 인간 등 수많은 오명이 빈민들에게 붙여졌다.

 

저자는 ‘백인 쓰레기(white trash)’의 역사가 미국이 한창 발전한 20세기가 아니라 1500년대에 이미 시작됐다고 강조한다. 영국의 초기 식민지 건설 기획자들이 영국 내에서 골칫거리로 여겨지던 빈민들을 흘려보낼 하수구 내지 쓰레기더미로 신대륙을 상정했다는 것

신대륙으로 건너가는 뱃삯을 갚기 위해 이들은 고된 노동에 시달려야 했고, 이를 갚지 못하면 부인과 자식에게 빚이 대물림됐다. 토지가 부의 주된 원천이었기 때문에 땅이 없는 사람들은 노예 상태를 벗어나기가 불가능했다.

영국식 계급제도는 신대륙에 그대로 답습됐고, 빈곤에 대한 뿌리 깊은 통념과 노동 착취는 근절되지 않은 채 극빈자들은 소모품처럼 취급됐다. 더 놀라운 것은 이들이 폄하와 기피의 대상이었을 뿐만 아니라 열등한 ‘동물 종’으로 묘사됐다는 점

 

한다. 한때 한국에서도 우유회사들이 열었던 우량아선발대회가 1908년 미국에서 시작된 것도 우생학 열기에서 비롯됐다니 놀랍다. 상층계급이 계급과 혈통을 강조하는 만큼 빈민계급을 단종과 추방의 대상으로 여기는 풍조는 더 강화

 

계급은 신대륙 이주 초기부터 미국 구석구석에서 개인의 삶의 방식을 규정하고 미국인의 정체성을 형성해왔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나이, 명성, 재산 등에 따라 교회 내 좌석을 배치하는 일부터 빈곤층의 투표권을 박탈하고 공직 출마를 제한하는 것까지 불공평의 사례는 무궁무진하다.

빈민계급과 그렇지 않은 계급의 주거공간은 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다. 1950년대에 똑같은 모양의 주택과 깔끔한 잔디밭으로 이뤄진 목가적 풍경의 주택단지들이 도시 외곽에 세워지기 시작했다. 신흥 중산층의 상징이던 교외 주택단지는 점차 계급 동질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흘러갔다. 이에 비해 이동주택인 트레일러는 삶의 터전을 마련하지 못한 떠돌이 빈민의 상징

 

존경받는 정치인과 엘리트 지식인들이 이런 계급의식을 조장하고 찬양했다는 점도 놀랍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가난한 백인을 인간 폐기물과 동일시했고, 벤저민 프랭클린은 펜실베이니아 오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찌꺼기’라고 부르며 잡초를 뽑아내듯 게으름뱅이들을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제3대 대통령 토머스 제퍼슨은 투표권을 토지보유자로 제한해 차별을 합법화했다.

차별을 극복한 성공 사례가 없지는 않았다. 1956년 첫 앨범을 낸 엘비스 프레슬리는 시골 출신이었고, 1963년 투표 없이 대통령이 된 린든 존슨은 동부 출신의 전임자 존 F 케네디와 달리 남부 오지 출신이었다. 빌 클린턴은 자신의 남부 촌뜨기 이미지를 장점으로 바꾸기 위해 거리낌 없이 엘비스 프레슬리의 이미지를 차용했다.

이런 성공 사례에도 불구하고 빈민계급의 문제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계층이동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이들을 돕기 위한 지원책은 반발에 직면한다. 능력과 관계없이 상속만으로 유사귀족의 지위를 누리는 일은 지금도 합법적으로 이뤄진다. 이 책이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다만 이렇게 당부한다. “그들은 우리가 아니야”라고 외면하지 말라고. “싫든 좋든 그들은 우리이며 항상 우리 역사의 본질적인 일부였다”고.

 

 

아래는 그냥 제목만 비슷한 미국사 관련 ebs 다큐

 

댓글
1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