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이 많다
-이건 여러가지 문제인데 글의 요점을 파악하지 못하고 상대방의 주장이 무엇인지 캐치하지 못하고 동문서답하는 것도 많고 특히 좀 어려운 이야기가 나오면 글을 왜곡하거나 폄하하면서 해석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마지막으로 10줄 이상의 장문글은 읽지 못한다는 분분들도 꽤 많고 이걸 비아냥 대듯 짧게 해석해 달라는 뻔뻔함도 간혹 보이는데 못읽을거면 그냥 못읽고 조용히 있는게 맞습니다
2. 물타기
-어느 커뮤니티든 간에 물타기가 문제긴 한데
청꿈은 추천과.글쓰기에도 레벨업을 시켜주기에
우리는 대부분 이것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거 같습니다 궤변에 가까운 댓글이나 답글이 빠른시간안에 선동에 성공하여 베스트댓글이 되는 경우도 심심찮게 목격했습니다
3. 지식 차이
-개인마다 지식의 차이가 다르고 그 전에
어떤 분야에 대해서 깊게 파는 사람이 있고 전혀 모르는 사람도 있고 제각각인데 저번에 어떤분이 *저출산과 교육시장의 과열화를 연관지어 글을 쓰는 걸 봤습니다 ,사회문제에 대해 어느정도 이해를 하고 있으면 충분히 이게 연관된다는 것을 알 수있고 글의 요지도 분명했는데 어떤 분이 이해를 못했는지 글의 요지가 뭐냐고 되묻더군요 제가 볼땐 이게 무슨 연관 이냐는 식으로 따지는거 같았습니다 참 이런건.... 안했으면 좋겠네요 모르면 찾아보거나 질문을 하는게 상대방에 대한 배려라고 생각하는데 틀린거같다 싶으니 따지듯 말하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이거말고는 뭐 없는거 같긴한데
주로 이 3가지 문제는 정치게시판 보다는
동아리 게시판에 많은거 같습니다
칼럼 쓰시는 분들. 장문 글 쓰시는 분들
이런거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장문글이나 칼럼글 요지 이해 못하신 분들은
따지듯 말하지 말고 알아가고 싶으면 질문을 정중히 하셨으면 하네요 이러면 사로 상호존중이 되는 커뮤니티로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처음엔 일부를 안 붙히고 올려서 올리자마자 바로 확인후 수정했습니다 일부 맞습니다 전체가 다 그렇다는거 아니고요 허허
피드백 좋아여
지적추
지적추
피드백 좋아여
‘일부’ 👍
처음엔 일부를 안 붙히고 올려서 올리자마자 바로 확인후 수정했습니다 일부 맞습니다 전체가 다 그렇다는거 아니고요 허허
쫌더 지켜봐
킹직히 지식차이는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해 사람마다 전공이 다른데
지식차이는 사실 문제나 상하관계를 따질 이유도 없고 해서도 안될 짓이죠 다만 청꿈에서는 그 문제로 갈등이 생기기 쉬운 분위기가 존재하는거 같다 이게 제 생각입니다
ㅊㅊ
좋은 말씀 감사감사~
무야호
반면교사 삼겠슴
동감하고 주의하겠습니다
잘읽었습니다 주의할께요 ㅅㄱㅊ
청꿈 문제라기 보단 대부분 커뮤가 가지고
있는 특성들인듯
지적 ㅊ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