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4월 결혼 ‘역대 최대’ 25% 증가... “대구·대전 결혼 장려책 효과”

profile
화려하진않아도

지난 2019년 서울에서 열린 한 웨딩박람회에서 예비 부부가 드레스 등 결혼 관련 상품을 둘러보고 있다. /뉴스1

지난 2019년 서울에서 열린 한 웨딩박람회에서 예비 부부가 드레스 등 결혼 관련 상품을 둘러보고 있다. /뉴스1


지난 4월 혼인 건수가 1만8000여 건으로 1년 전에 비해 25% 가까이 불었다. 4월 기준 역대 최대폭이다. 파격적인 결혼 지원책을 내건 대전과 대구 등에서 혼인이 40%가량 급증한 여파라고 통계청은 보고 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4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4월 혼인 건수는 1만8039건으로 작년 4월에 비해 24.6% 증가했다. 혼인이 26% 늘어난 2018년 10월 이후 5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혼인 건수가 늘어났다. 4월 기준으로는 통계청이 혼인 건수를 집계하기 시작한 1981년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전국 17개 시도에서 예외없이 혼인 건수가 증가했는데, 이런 경우는 코로나 거리두기로 결혼을 미뤘던 남녀들의 혼인이 몰린 2023년 3월 이후 13개월 만에 처음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대전과 대구 등 지자체의 파격적 결혼 장려책의 정책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역 별 혼인 건수 증가율을 보면, 대전의 증가율이 44.1%로 가장 높았다. 대전은 올해 1월부터 만 19~39세 신혼 부부를 대상으로 최대 500만원의 결혼 일시 장려금을 지원하기 시작하는 등 지자체 차원의 결혼 인센티브 마련에 적극적인 대표적인 지자체다.

4월 혼인 건수 증가율 2위 지자체는 대구(37.6%)였다. 대구도 결혼 7년 이내 신혼 부부에게 최대 연 320만원의 전세 대출 이자 상환액 지원 등 파격적 결혼 지원책을 마련한 지자체 가운데 하나다.

이어 울산(34.3%), 경북(28.5%), 서울(27.9%) 등의 순으로 혼인 건수 증가율이 높았다. 혼인이 1년새 8.4% 감소한 작년 4월의 기저효과, 혼인 신고가 가능한 평일이 올해 4월 21일로 작년 4월(20일)에 비해 하루 늘어난 점 등도 4월 혼인 건수가 늘어난 또다른 요인이라고 통계청은 밝혔다.

혼인은 2012년(-0.6%)부터 2022년(-0.4%)까지 11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다가 지난해 들어 1년 전 대비 1% 늘어나면서 증가세로 전환했다. 다만 이는 코로나 거리두기로 결혼을 미뤘던 남녀들이 뒤늦게 결혼한 기저 효과가 컸다. 하지만 올해 1분기(1~3월) 들어서도 결혼이 0.4% 늘어났고, 특히 초혼(初婚)이 부쩍 늘어나면서 결혼 트렌드가 새로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1분기 남자가 초혼인 혼인 건수는 4만6215건으로 1년 전보다 2% 늘었고, 여자가 초혼(4만5268건)인 경우도 1년 새 2.5% 늘었다. 남녀 모두 초혼이 1분기 기준으로 2020년 이후 4년 만에 최대치다. 20·30대 남녀들이 독신주의를 접고 가정을 꾸리려는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42531?cds=news_media_pc

댓글
1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