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균열 속 기회" … 中, 美 관세 전운 속 인도에 협력 제안

뉴데일리

미국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중국이 인도를 새로운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흔들리는 기존 통상 질서의 틈을 파고드는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쉬페이훙 인도 주재 중국 대사는 중국 관영 영문 매체 글로벌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무역 및 기타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을 강화하고 중국 시장에 적합한 인도 제품을 더 많이 수입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이 같은 발언은 전략적 무역 파트너를 재편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인도와의 관계 강화는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충격을 일부 완화하면서, 신흥국 중심의 새로운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중국의 구상과 맞닿아 있다.

블룸버그는 2023년부터 지난해까지 양국간 무역 규모가 1017억 달러(약 149조원)에 달했지만 인도는 막대한 적자를 보고 있다. 인도의 대중국 수출품은 석유, 철광석, 수산물 등으로 약 166억 달러(약 24조원) 수준이다. 이러한 구조를 개선하려는 움직임은 인도에도 나쁘지 않은 제안으로 비칠 수 있다.

중국과 인도는 2020년 국경 분쟁으로 긴장이 고조됐지만, 지난해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회담을 가진 뒤 점진적 해빙 기류가 이어지고 있다. 쉬 대사의 발언은 양국 수교 75주년을 계기로 나왔으며, 시 주석도 최근 "양국 간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자"고 메시지를 보냈다.

반면 미국 백악관은 인도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은 "인도는 미국 농산물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며 불만을 표출했다. 인도가 일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낮췄지만, 농업 등 민감 분야에서 추가적인 양보를 요구한 것이다.

인도의 사례에서 보듯 미국의 고율 관세가 초래한 통상 질서의 균열은 중국에게 새로운 전략적 기회를 제공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의 고율 관세는 전방위적인 외교·경제 마찰을 촉발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2일(현지시간) '불공정 무역 관행'을 이유로 대부분의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 부과를 단행할 예정이다. 이번 관세는 과거처럼 협상용 압박카드가 아닌 실질 징수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영국 BBC 방송은 트럼프의 이번 조치를 "관세의 핵옵션"이라며 "글로벌 통상체계에 탄도미사일 세례에 가까운 충격"이라고 평가했다. 문제는 관세 대상이 중국뿐 아니라 유럽연합(EU), 일본, 한국 등 전통적인 미국의 동맹국을 가리지 않고 집행된다는 점이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미국과의 오랜 관계는 끝났다"고 선언했고, 유럽에선 미국 의존 탈피를 뜻하는 '디커플링' 논의가 확산 중이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4/02/2025040200258.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