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트럼프 관세로 글로벌 GDP, 2년새 1100兆 증발 전망 … 최대 타격은 미국"

뉴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잇달아 내놓고 있는 각종 관세 조치로, 2027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0.6% 하락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일 보도했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아시아경제연구소는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했거나 시행 예정인 상호관세, 수입 자동차 관세, 대(對)중국 20% 추가 관세 등에 대한 영향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전망한 2027년 세계 GDP인 127조달러(약 18경6969조원)에 연구소 분석을 적용하면 7630억달러(약 1123조원)가 감소하는 셈이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이 연구소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는 나라는 정작 미국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없는 상황과 비교해 2027년 GDP가 2.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닛케이는 "중국산 물품의 수입가격이 상승하고 중국산 부품에 의존하는 미국 기업의 수익도 압박받을 것"이라고 짚었다.

연구소는 미국 관세 정책으로 인해 중국도 2027년 GDP가 0.9% 줄어들겠지만, 한국과 일본은 오히려 각각 0.5%와 0.2%가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 연구소는 상호관세가 상대국과 동등한 관세를 부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일본처럼 세율이 낮은 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적고, 중국산 제품이 팔리지 않는 대신 '수요 전환'으로 한국과 일본 제품 판매가 늘어날 것이라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다만 닛케이는 "실제 영향은 극히 불투명하다"면서 일본에는 쌀처럼 높은 관세를 적용하는 물품이 있고, 미국 정부가 이를 문제 삼아 일본을 비판하고 있다고 전했다.

상호관세뿐만 아니라 자동차 관세 여파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자동차 가격이 급등하면 다른 소비에 사용할 여력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미국 예일대 예산연구소(TBL)가 지난달 28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자동차 관세만으로 한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연 492~615달러(약 72만~90만원)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르면 1일 밤에서 2일 상호관세 세부 내용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4/01/2025040100338.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