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각) 외국에서 만든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로이터·AFP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 백악관에서 외국에서 만들어진 자동차와 경트럭에 25% 관세 부과를 명령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12일부터 철강과 알루미늄 분야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 무역질서에 큰 영향을 줄 또 하나의 품목별 관세가 부과되는 것이다.
자동차 관세를 통해 그동안 다른 나라에 빼앗긴 부를 되찾아오고, 미국 자동차산업을 다시 부흥시킨다는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수년간 미국에서 사업을 하고, 일자리와 부, 많은 것들을 가져간 국가들에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우방이든 적국이든 우리에게서 많은 것을 빼앗았고 솔직히 종종 우방국들이 적국보다 더 나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할 일은 미국산 자동차가 아닌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며 "만약 미국에서 만들어졌다면 당연히 관세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많은 해외 자동차회사들은 이미 (미국에) 공장이 있지만, 활용도가 낮다"며 "그들은 저렴하고 빠르게 그것들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자동차 관세는 4월2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상호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미국 정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이번 관세 부과로 인해 연간 1000억달러(약 147조원)의 관세 수입을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수입은 미국의 부채를 줄이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영구적(permanent)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자동차 관세 부과에 관여하지는 않았다면서 "관세가 (미국 업체인) 테슬라에 좋을 수도 있고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와 관련해서는 예고대로 4월2일 발표될 것이라면서 특히 상호관세는 '모든 국가'에 부과된다고 밝혔다.
그는 "아마도 4월2일 관세에 있어서는 더욱 관대할(Lenient) 것"이라며 "사람들이 매우 기분 좋게 놀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뉴스맥스와의 인터뷰에서도 "나는 상호적으로 하는 것보다 관대할 것"이라며 "내가 상호적이라면 많은 사람이 매우 힘들 것이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3/27/202503270001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