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트럼프가 중국에 쏜 무역전쟁 폭탄, 결국 한국 타격 … 中, 배터리 등 기술통제 강화에 韓 기업 피해 불가피

뉴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 여파로 한국 배터리업계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중국이 배터리나 광물 관련 기술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면서 의존도를 높이고 있는 한국의 접근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16일(현지시각) 업계 관계자와 중국 정부 공지 등을 토대로 중국 당국이 최근 몇달간 자국 첨단기술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FT는 중국 당국은 이를 위해 기술자 파견이나 장비 이전을 어렵게 만들고 있으며 핵심 배터리 기술을 통제하기 위한 새로운 수출통제를 제안하고 중요 광물 처리기술도 제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배터리와 관련해서는 중국 상무부가 지난달 리튬 추출 및 첨단 배터리 소재 제조에 관련된 기술수출 제한을 제안했다고 FT는 전했다.

해당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이 규제가 완전히 도입되면 유럽 등에 공장을 둔 중국의 배터리 대기업들이 전체 공급망을 해외로 이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해당 규제는 세계 최대 배터리 생산업체인 중국 CATL과 같은 기업의 경우 리튬·인산철(LFP) 양극재와 같은 배터리 소재를 현지에서 생산·구매하는 대신 중국에서 조달해야 한다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러한 규제는 특히 LFP 배터리로 다각화를 추진하는 한국 기업들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FT는 지적했다.

LFP 배터리는 기존 이차전지의 부식과 폭발을 막기 위해 쓰이던 코발트 대신 철과 인을 사용한 배터리로, 안정성이 높고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니켈·코발트·망간(NCM) 기반 삼원계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낮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도 상당 부분 개선되면서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중국은 LFP 배터리시장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원자재 시장조사업체 '벤치마크 미네랄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글로벌 LFP 양극활물질의 99%를 생산했다.

주로 NCM 배터리에 집중하던 한국은 LFP 배터리시장에서는 후발주자로, 최근 중국을 따라잡기 위해 중국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LFP 양극재를 구매하고 있다.

FT는 중국의 '텃밭'인 LFP 배터리시장에 뛰어든 한국 업체들이 "중국 당국의 새로운 규제로 위협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청한 국내 한 주요 배터리 제조업체 관계자는 중국 상무부에 이와 관련한 우려 사항을 전달했다고 FT에 밝혔다.

이 관계자는 "(당국의) 지침에 우리의 우려가 반영되지 않는다면 중국 기업과의 파트너십이 부정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해당 규제는 배터리 소재뿐만 아니라 기술 측면에서도 한국의 접근을 제한할 전망이다.

원자재시장 분석업체 CRU의 샘 애드햄 배터리연구 책임자는 "한국 기업들은 첨단 중국 기술이 필요하지만 (새로운 수출 규제로) 지난해의 기술, 즉 현재 (전기자동차에 탑재돼) 도로를 달리고 있는 (배터리의) 기술에만 접근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FT는 중국 당국의 이러한 조치가 CATL과 같은 자국 기업의 해외 공급망 확대 또한 가로막을 수 있다는 점을 함께 짚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17/2025021700285.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