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핵이란 있을 수 없다" … 美-이스라엘, 對중동 강경 공조 '재확인'

뉴데일리

취임 후 처음으로 16일(현지시각) 이스라엘을 찾은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정부의 강경하고 공격적인 대(對)중동 정책을 적극 지지했다. 특히 이란의 위협에 맞서서는 빈틈없는 공조방침을 확인했다.

로이터통신, 타임스오브이스라엘(TOI) 등에 따르면 네타냐후 총리는 이날 루비오 장관과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란의 핵 위협에 양국이 공동 대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네타냐후 총리는 "지난 16개월 동안 이스라엘은 '테러의 축' 이란에 엄청난 타격을 입혔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 하에 우리는 이 작업을 완수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그러면서 "이란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며 "미국과 이란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어깨를 나란히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아야톨라(이란 최고지도자)가 핵무기를 갖는 것을 용납해선 안 되며 역내에서 이란의 침략을 물리쳐야 한다는 데에 동의했다"고 말했다.

루비오 장관도 "'핵이란(nuclear Iran, 핵을 보유한 이란)'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면서 중동 내 여러 난제의 "공통된 테마는 이란이다. 역내 불안정의 가장 큰 원천이자 모든 테러 단체와 폭력 행위, 파괴적 행동,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모든 것의 배후"라고 했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무장정파 하마스에 대해서는 "군사조직이든, 정부조직이든 지속해선 안 된다. 그들은 반드시 제거돼야 한다"고 말하면서 네타냐후 정부의 강경책을 전폭적으로 지지했다.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에 관해서 네타냐후 총리는 "레바논군이 헤즈볼라를 무장해제하는 것을 선호한다. 다만 이스라엘이 휴전합의를 이행하고 안보를 지키는 데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면서 유사시 군사작전을 재개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루비오 장관도 "미국과 이스라엘의 목표는 같은 방향으로 정렬됐다"며 "강한 레바논 정부가 헤즈볼라를 무장해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스라엘이 지난 1년 반 동안 전쟁했던 두 적대적 무장정파와 이들을 지원하는 '저항의 축'의 구심점인 이란에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낸 셈이다.

특히 이날 네타냐후 총리가 이란의 핵무기 위협을 거론하면서 "일을 끝내겠다"고 언급해 시선을 끌었다. 이를 두고 이스라엘이 미국 정부의 지지와 용인을 등에 업고 이란 핵시설에 대한 군사작전 가능성을 시사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최근 미국 정가에서는 이스라엘이 이란 핵시설을 공습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이 대통령선거에 승리한 직후 "이란은 어느 때보다 자국 핵시설에 대한 공격에 아주 취약하다"면서 핵시설 타격 가능성을 거론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도 이란 핵시설 공격방안에 대한 질문에 "안 해도 된다면 참 좋을 것"이라고 답하면서 여지를 뒀다.

한편 네타냐후 총리는 전후 가자지구와 관련해 "우리는 공통의 전략이 있지만, 세부적인 내용까지 항상 대중에게 알릴 수는 없다"며 "모든 인질이 마지막까지 석방되지 않는다면 '지옥의 문'이 열릴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다"고 경고했다.

루비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가자지구 주민을 주변국으로 이주시키고 미국이 이곳을 장악하겠다고 밝힌 '가자 구상'에 대해 "과거와 같은 낡고 지루한 아이디어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지구의 미래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대담하게 밝혔다"며 "많은 이기 놀라고 충격받았을 수 있지만 같은 일이 계속 반복되고 똑같은 지점으로 돌아오는 것을 근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17/2025021700016.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