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병력을 투입한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6일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 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으로부터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했다가 "'국회의원'은 듣지 않은 걸로 기억한다"고 말을 바꾼 것이다.
곽 전 사령관은 이날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윤 대통령이 당시 데리고 나오라고 지시한 대상이 국회의원이 맞냐'는 국회 측 질문에 "정확히 맞다"고 답했다.
곽 전 사령관의 법정진술이 바뀌자 정형식 재판관은 "증인 진술이 달라지니까 문제가 된다"며 "생각이나 해석을 빼고 오로지 들은 얘기만 말씀해보라"고 말했다.
먼저 정 재판관은 "(윤 대통령이) 아직 의결 정족수가 안 채워진 것 같다고 했느냐"고 묻자 곽 전 사령관은 "맞습니다"라고 답했다.
곽 전 사령관은 이어 '150명 얘기를 했느냐'는 질문에 "당시에는 기억이 없는데 나중에 다른 사람이 제가 그런 말을 했다고 얘기를 해서 생각났다"고 했다.
정 재판관이 "다른 사람 얘기 다 제외하고 증인의 기억만 말해달라. 기억에 150명 얘기는 당시에 들었냐"고 거듭 확인하자 곽 전 사령관은 "나중에 기억났다"고 답했다.
곽 전 사령관은 "'국회 안에 있는 사람들 데리고 들어와라'고 했느냐"는 정 재판관의 질문에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 이렇게 기억한다"고 회상했다.
정 재판관이 "국회의원이란 말은 안 했느냐"고 묻자 곽 전 사령관은 "의원이라는 말은 자수서에 안 썼다"고 밝혔다.
이에 정 재판관이 사실관계를 확인하자 곽 전 사령관은 "안에 있는 '인원'을 끄집어내라고 했다"며 "전화로 들은 표현은 '인원'"이라고 답했다.
그는 정 재판관이 "150명은 언제 얘기를 했느냐"라고 묻자 "이건 대통령 얘기가 아니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얘기"라고 선을 그었다.
앞서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국회에서 국회의원을 데리고 나오라고 지시했다고 진술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데리고 나오라'고 지시한 대상이 국회의원이 맞느냐"는 국회 측 질문에는 "정확히 맞다"고 확언했다.
곽 전 사령관은 "당시 707 특수임무단 인원은 국회 정문 앞에서 대치하는 상황으로, 본관 건물 안쪽으로는 인원이 안 들어가 있는 상태였다"며 "그 상태에서 전화를 받았고 (국회) 안에 작전 요원들이 없었기 때문에 당연히 (요원이 아니라) 국회의원이라고 이해했다"고 부연했다.
곽 전 사령관은 검찰 조사에서도 "윤 대통령이 4일 0시30분경 다시 직접 제 비화폰으로 전화 걸어와 '아직 국회 의결 정족수가 안 채워진 거 같다. 국회 안으로 들어가 의사당 안 사람들 빨리 데리고 나와라'고 지시하셨다"고 진술한 바 있다.
국회 측이 이를 언급하며 "검찰 조서 진술이 사실이냐"고 묻자 곽 전 사령관은 "그렇다"고 답했다.
곽 전 사령관은 "'(김 전 장관으로부터) 국회의원이 150명이 되지 않도록 국회의사당 출입을 봉쇄하고 국회의사당 안으로 들어가 의원들을 데리고 나오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이에 윤 대통령 측이 "사령관 스스로 (국회의원이라고) 이해했다는거 아니냐. 보좌관 등 수천 명 중에 사람이라는 용어가 꼭 국회의원 말하는 것은 아니지 않으냐"고 재차 묻자 곽 전 사령관은 "아니다. 정확하다"며 "본회의장에 국회의원들이 여러 명 들어가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렇게 이해했다"고 설명했다.
곽 전 사령관이 진술을 번복하자 윤 대통령 측은 "검찰 진술 중에는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는 내용이 없는데 국회 진술에서는 말이 바뀐다"고 지적했다.
이에 곽 전 사령관은 "제가 군 생활 34년 하면서 국군 통수권자인 대통령님이 말하는데 차마 제가 검찰 자수서에 그렇게 쓸 수 없었다"며 "용어를 순화해서 쓴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부수고'를 '열고'라고 했고 '끌어내라'를 '데리고 나와라'는 등 언어를 순화한 것이지 말을 바꾼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곽 전 사령관은 이어 “이같은 내용이 어떠한 영향력을 미칠지 알고 있어서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유튜브에서는 언급을 하지 않았다"며 "국회 국방위에서 여야 의원들 앞에서 말씀드리고 검찰 자수서에 정확히 썼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곽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당시 전투통제실 마이크가 켜져 있어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의 지시가 생중계됐다고 말했다.
그는 "(12·3 비상계엄) 당시 저는 전투통제실에 앉아서 화면을 보고 지휘하고 있었고 나중에 알았는데 마이크가 켜져 있었다"며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으로부터 지시받는 게 예하 부대 전체에 생방송으로 전달됐다"고 설명했다.
또 "(공소장의 발언은)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 지시 내용을 현장 지휘관들과 논의한 과정이 적혀 있는 것"이라고 했다.
검찰은 곽 전 사령관 공소장에 "윤 대통령이 곽 전 사령관에게 전화해 '국회 내에 의결 정족수가 안 채워진 것 같으니 빨리 국회 안으로 들어가서 의사당 안에 있는 사람들을 데리고 나와라', '문짝을 도끼로 부수고서라도 안으로 들어가서 다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했다"고 적었다.
곽 전 사령관의 진술에 의문을 품은 국회 측은 '공소장에 있던 말들이 그 시간에 있었던 건 맞느냐'고 묻자 곽 전 사령관은 "맞다"며 "마이크가 켜진 상황에서 (지시 사항들이) 어쨌든 전달됐다"고 주장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6/202502060037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