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트럼프 '관세 폭탄' 늦추는 이유는 '내부 이견' 때문

뉴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선 기간 공약한 관세를 즉각 부과하지 않는 것은 내부 이견을 조율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정치매체 폴리티코는 24일(현지시간) 행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할 방법과 시기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특정 국가들을 특별히 높은 세율의 관세로 결정할지, 특정 산업이나 제품에 예외를 허용할지 등에 대해 결정하지 않았다.

행정부 핵심 관료 중 월가 출신인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 지명자와 케빈 해셋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점진적이고 선별적인 관세부과를 주장하는 온건파로 분류된다.

반면 반대 진영인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지명자와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고문, 스티븐 밀러 백악관 정책 담당 부비서실장은 보호주의 성향이 강해 전반적인 관세부과를 지지한다.

내부 이견이 갈리면서 시점이 지연될 것일 뿐, 관세부과는 몇 달 내로 추진될 것이라는 견해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부터 모든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했었다. 하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관세부과 조치는 내려지지 않은 상태다.

2월 1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중이라고 밝혔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를 취할지는 명확히 밝혀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관세발표 지연이 일종의 협상 전략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마이크 라운드 공화당 상원의원(사우스다코타)은 “실제 어떤 것도 강요하지 않고도 결과를 얻고 있다”며 “그렇다고 해서 강요가 없을 거라는 의미는 아니지만 현재로선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협상 카드로 사용했다는 주장을 일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1일 기자회견에서 “그것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캐나다와 멕시코가) 수백만 명을 우리나라에 들어오도록 허용했고 관세부과는 불법 이민과 펜타닐 유입에 대한 대응의 일환”이라고 반박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1/26/2025012600004.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