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美-EU 이어 캐나다도 중국 전기차에 관세 부과 검토"

뉴데일리

캐나다가 미국과 유럽연합(EU)에 이어 중국산 전기자동차에 대한 새로운 관세 부과를 추진하고 있다고 미국의 블룸버그통신이 2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캐나다 정부의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캐나다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에 대한 협의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 정부의 한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진행방식에 대해서는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하지만, 조만간 중국이 캐나다에 전기차를 수출하는 것에 타격을 줄 관세에 대한 공개 협의 시작이 발표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캐나다 재무장관은 지난주 이탈리아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캐나다는 중국의 과잉생산에 대응하기 위한 다음 조치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면서 對중국 제재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캐나다는 미국과 EU로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장벽'을 세우는 데 동참하라는 압박을 받고 있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지난달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100%로 4배 인상했다. 이어 EU는 지난주 중국산 전기차에 최대 48.1%까지 관세를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특히 당사국간 관세와 무역장벽을 폐지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이 2026년 재검토를 앞둔 만큼 캐나다 입장에서도 미국과 보조를 맞춰야 하는 상황이다.

캐나다 자동차업계에서도 중국산 수입차에 더 높은 관세를 물리라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중국산 저가 차량의 공습으로 자동차 생태계가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주 총리는 전날 "중국이 저렴한 전기차를 만들기 위해 낮은 노동 기준과 더러운 에너지를 이용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X(엑스, 옛 트위터)에도 "우리가 빨리 행동하지 않으면 온타리오주와 캐나다 일자리가 위험할 것"이라며 트뤼도 정부에 최소한 미국과 비슷한 수준의 관세 부과를 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트뤼도 총리가 중국의 보복 가능성을 고려해 신중한 움직임을 보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한편 캐나다가 수입한 중국산 자동차는 지난해 44만400대로, 전년대비 5배 이상 급증했다. 테슬라가 상하이에서 만든 '모델 Y' 차량을 캐나다로 운송하기 시작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캐나다는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될 경우 테슬라 외에도 중국산 저가 전기차가 시장에 넘쳐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4/06/21/2024062100222.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