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카자흐스탄 핵심광물 탐사부터 상용화까지 韓 기업이 우선 개발권 갖는다

뉴데일리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 방문을 계기로 중앙아시아의 세계적인 자원 부국 카자흐스탄에 매장된 핵심광물을 한국 기업이 탐사부터 개발, 상용화까지 모든 단계에 걸쳐 참여할 기회가 열렸다.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에 나선 윤석열 대통령은 12일(현지 시간)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핵심광물 공급망, 전력산업 등 양국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카자흐스탄 수도 아스타나 대통령궁에서 열린 한-카자흐스탄 정상회담 직후 공동언론발표에 나서 "양국은 카자흐스탄의 풍부한 광물자원과 한국의 우수한 기술력을 결합해 핵심광물 공급망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카자흐스탄은 원유, 우라늄 등 주요 에너지원을 보유한 세계적인 자원 부국이다. 카자흐스탄의 세계 핵심광물 시장점유율은 우라늄 1위(43%), 크롬 2위(15%), 티타늄 3위 (15%), 비스무스 5위(0.8%)다.

이번 윤 대통령의 국빈 방문을 계기로 양국간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파트너십 MOU(한 산업통상자원부-카 산업건설부), 리튬 광산 탐사‧개발을 위한 협력 MOU(한 지질자원연구원-SK에코플랜트-카 산업건설부), 희소금속 상용화 기술 협력 MOU(한 산업기술진흥원-카 국가기술예측센터) 등 핵심광물 분야에서 3건의 MOU(양해각서)가 체결됐다.

윤 대통령은 공동언론발표에서 핵심광물 관련 MOU 체결에 대해 "리튬을 포함한 주요 광물의 탐사, 채굴, 제련 등 전 주기에 걸친 파트너십을 발전시키기로 했다"며 "아울러, 경제성이 확인되는 광물에 대한 한국 기업들의 우선적 개발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 에너지 분야에서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와 카자흐스탄 에너지부 간 전력산업 협력 MOU 체결을 통해 전력발전 분야에서 포괄적 협력관계가 구축됐다.

양국은 전력산업 협력 MOU 체결을 통해 전력발전 분야에서 ▴고효율 저배출 발전 ▴재생에너지 ▴노후발전소 현대화 등 에너지 분야 협력 및 정보공유를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윤 대통령은 "양국은 이번에 체결된 전력산업 협력 MOU를 바탕으로 발전소 현대화와 재생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을 한층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양국은 알마티 순환도로와 쉼켄트 복합화력발전소와 같은 인프라 분야에서의 양국 협력이 매우 성공적이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카자흐스탄의 에너지 인프라 확충에 있어 후속 성공 사례들이 나올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양국은 석유, 가스 및 석유 화학 분야 협력에 관한 MOU를 맺고 카자흐스탄 석유가스 분야 신규 사업 추진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양국 정상은 북핵 문제 등 국제 안보 현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윤 대통령은 "양국은 특히 북한의 불법적인 핵, 미사일 개발을 규탄하고 북한의 불법 자금 조달 차단 노력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공조에 계속 동참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저는 토카예프 대통령님에게 동행, 융합, 창조의 원칙에 입각한 우리 정부의 한-중앙아시아 K 실크로드 협력 구상과 한-중앙아시아 정상회의 개최 계획에 대해 설명드렸고, 토카예프 대통령께서는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주셨다"고 강조했다.

한편, 윤 대통령의 국빈 방문을 계기로 양국은 이날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파트너십 MOU 등 총 37개 문서에 합의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4/06/12/2024061200290.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