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中 "창어 6호, 세계 최초 달 뒷면 샘플 채취 … 오성홍기 펼쳐"

뉴데일리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嫦娥, 달의 여신 항아) 6호'가 4일 세계 최초로 달 뒷면에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꽂았다.

중국 관영 CCTV는 국가우주국(CNSA) 발표를 인용해 "이날 오전 7시 38분(베이징 시각) 창어 6호가 달 뒷면 샘플을 채취해 이륙했고, 3000N 엔진 작동 약 6분 뒤 상승선을 예정된 달 궤도로 진입시켰다"고 전했다.

달 뒷면에서 토양, 암석 샘플을 채취한 것은 이번이 세계 최초다. 그간 달 표면 샘플 채취는 세계적으로 모두 10차례 이뤄졌지만 모두 달 앞면에서 진행됐다.

지난달 3일 발사된 창어 6호는 발사 당일 달 궤도에 진입한 뒤 약 30일간 달 주변 비행 등 동작을 수행하며 착륙을 준비했고, 지난 2일 목표 지점인 달 뒷면 '남극-에이킨 분지'에 착륙했다.

CNSA는 "지난 2~3일 창어 6호는 달 뒷면에 있는 남극-아이켄 분지에서 지능형 신속 샘플링(샘플 채취)을 성공적으로 완료했고, 귀중한 달 뒷면 샘플을 저장장치에 저장했다"며 "지능형 샘플링은 창어 6호의 핵심 임무"라고 설명했다. 창어 6호의 임무는 달 역주행 궤도 설계와 제어, 달 뒷면 샘플 채취, 달 뒷면 이륙 상승 등이 포함된다.

CCTV는 창어 6호의 핵심 임무인 지능형 샘플 채취 과정에 대해 "탐사선은 달 뒷면의 고온을 견뎌내고, 드릴을 이용한 시추와 기계 팔을 이용한 표면 채취 등 두 가지 방식으로 달 뒷면 샘플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착륙선에 탑재된 착륙 카메라와 파노라마 카메라, 달 토양 구조 탐지기, 달 광물 스펙트럼 분석기 등이 정상 작동해 계획대로 달 표면 탐사가 이뤄졌다고 전했다.

아울러 창어 6호가 싣고 간 유럽우주국(ESA)의 달 표면 음이온 분석기와 프랑스의 달 라돈 탐지기 등도 정상적으로 가동됐고, 착륙선 상단에 달린 이탈리아의 레이저 각 반사기는 달 뒷면 거리 측정에 쓰였다고 CCTV는 설명했다.

토양과 암석 등 총 2㎏가량의 시료를 채취한다는 목표로 발사됐던 창어 6호는 이달 25일께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창어 계획은 달에 사는 여신 항아(상아)의 이름으로 명명된 중국의 달 탐사 프로젝트로, 2004년 3월 시작됐다. 총 4단계로 창어 1호에서 8호까지 달 탐사선 8개를 발사한다.

앞서 창어 5호는 2020년 11월 24일 발사돼 달 흙과 암석 표본 약 2㎏을 수집하고 12월 16일 지구로 귀환했다. 창어 7호는 2026년에, 창어 8호는 2028년에 발사될 예정이다.

한편 창어 6호는 샘플 채취 완료 뒤 갖고 있던 오성홍기를 달 뒷면에 꽂았다. CCTV는 "이는 중국이 처음으로 달 뒷면에서 독립적·역동적으로 국기를 내보인 것으로, 이 국기는 신형 복합 소재와 특수 공정으로 제작됐다"고 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4/06/04/2024060400120.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