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한동훈 팔이로 자기정치?"… 지구당 부활 군불 지피는 與 원외 인사들

뉴데일리

국민의힘에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주장한 것으로 알려진 '지구당 부활' 논란으로 갑론을박이 일고 있다. 당 안팎에서는 한 전 위원장을 위시한 원외 인사들의 '자기정치'라는 견해와 '정치 신인 육성'을 명분으로 지구당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국민의힘 원외조직위원장 20여 명은 29일 오후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 모여 당 혁신 방안으로 '지구당 부활'을 논의했다. 지구당 부활 방안을 수용하는 당권주자에게 힘을 실어주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지구당 논의는 한 전 위원장이 총선 과정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주장해왔다는 것이 당 내 전언이다. 그는 최근 당선·낙선자들을 만난 자리에서도 지구당 부활의 필요성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상수 국민의힘 인천 서구갑 조직위원장은 이날 YTN 라디오 '뉴스파이팅 배승희입니다'에서 한 전 위원장의 '지구당 부활' 주장에 대해 "저도 건의를 드리기도 했고 그에 대해 한 전 위원장이 '어떻게든 실현하기 위해 역할을 하겠다'는 답을 준 것도 있다"고 밝혔다.

지구당은 중앙당의 하부 조직이자 지역 조직 개념으로, 본래 목적은 정당과 지역 주민 사이의 창구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2004년 지구당 체제가 폐지된 이후 정착한 '당협위원회' 체제는 지역 사무실을 운영하거나 유급 직원을 고용할 수 없고 정치 후원금도 선거 기간에만 모금할 수 있는 한계가 따른다. 정치 신인이나 원외 인사들의 활발한 지역활동에 제약을 받는 구조다. 총선에서 여권의 수도권 참패 원인 중 하나로 지구당 부재가 거론되는 이유다.

그러나 지구당 운영에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 자금 조달이 가능한 사람을 중심으로 운영된다는 부작용이 따른다.

현행 정당법이 지구당 설치를 금지하는 것도 불법 선거자금 사건과 직결돼있다. 2002년 대선 당시 일명 '차떼기 사건'으로 한나라당(현 국민의힘)은 한동안 '천막당사' 신세가 됐고, 2004년 불법 정치 수수 등을 막기 위해 '오세훈법'(정치자금법·정당법·공직선거법 개정안)이 마련되면서 지구당은 폐지돼 오늘날 당협위원회 체제에 이른 것이다.

국민의힘에서는 지구당 부활에 대한 회의적인 반응이 감지된다. 자칫 과거 한나라당 차떼기 사건의 이미지를 상기시킬 수 있는 위험이 따르는 데다 현역 의원으로서는 달갑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게 일각의 시각이다.

국민의힘의 한 관계자는 "현역 의원이 중앙정치에 집중하는 사이 원외 인사들의 지역 정치 활동이 활발해지면 견제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오히려 원내외 인사 간 경쟁이 활발해지는 것이 지역주민에게는 시너지 효과가 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나아가 국민의힘에서는 원외 인사들이 한 전 위원장을 위시해 지구당 부활론에 군불을 지핀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국민의힘의 한 당선인은 이날 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원외 인사들이 선거 패배 원인을 자신이 아닌 구조에서 찾고 있다"면서 "물론 구조적 변화도 일부분 필요하지만, 후보 시절 '스포트라이트가' 그리운 원외 위원장들이 낙선 후 한동훈 위원장의 이름값을 팔아 자기 정치를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 전 위원장의 지구당 부활 주장은 전당대회 도전을 위한 세력화와 준비 작업이라는 분석이 잇따랐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소장은 전날 CBS '박재홍의 한판승부'에서 "한 전 위원장이 왜 불씨를 지폈을까, 전당대회에 나오겠다(는 것)"이라며 "서서히 기지개 차원에서 바로 이제 워밍업 단계 다음(으로 지구당 얘기를 한 것). 포석으로 읽어야 될 것 같다"고 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4/05/29/2024052900235.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