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단독]대구 군부대 이전 후보지 재검토…희망 지자체 5곳 모두 후보로

profile
whiteheart

TK신공항 갈등 해소…홍 시장 "군위 이전"에서 입장 선회
국방부 5개 유치 희망 지자체 모두 작전성 검토키로
연내 군부대 이전 상생협약 체결 가능성 높아져

대구 수성구 육군 제2작전사령부 위병소의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 군위군으로 사실상 공식화됐던 도심 군부대 이전 후보지가 당초 유치를 희망했던 5개 지자체로 다시 확대된다.

이에 따라 '갈등 관리'를 이유로 잠정 보류됐던 국방부와 대구시의 '군부대 통합 이전을 위한 민-군 상생 업무협약' 체결도 연내 가시화될 전망이다.

23일 대구시에 따르면 국방부는 대구 도심 국군부대 4곳을 통합 이전할 후보지에 대한 작전성 검토 대상에 군위군 뿐만 아니라 유치 의사를 밝혔던 상주시와 영천시, 의성군, 칠곡군 등 경북 지자체 4곳까지 모두 포함할 것으로 전해졌다.

군부대 통합 이전지를 군위군으로 한정하려했던 대구시도 이전 후보지를 경북 지역 지자체로 확대하는데 동의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 9월 대구경북신공항 화물터미널 배치를 둘러싸고 의성군과 갈등을 빚자 "군부대 이전 후보지는 대구시가 통제할 수 있는 지역으로 갈 수밖에 없게 됐다"며 이전 후보지를 군위군으로 제한해 유치 의사를 밝힌 타 지자체들의 반발을 샀다.유치 희망 지자체들의 반발이 이어지면서 국방부도 '갈등 관리'를 이유로 군부대 이전과 관련한 상생협약 체결을 보류한 상태다.

그러나 TK신공항 화물터미널 갈등이 복수 화물터미널 설치안을 민간공항 건설 기본계획에 반영하는 것으로 마무리되면서 군부대 이전 후보지 논의도 전환점을 맞았다.

지난 21일 홍준표 대구시장은 시청 동인청사에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군부대 이전 후보지는 국방부와 협의해서 다시 정리할 것"이라며 한 발 물러섰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대구시와 국군부대 4곳의 통합 이전을 위한 민-군 상생 업무협약을 맺는대로 작전성 검토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업무 협약의 구체적인 문안까지 모두 협의를 끝낸 상태다.

국방부는 유치 희망 지자체 5곳을 대상으로 작전성과 훈련장 등 임무수행여건을 고려해 이전 후보지 2, 3곳을 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국방부가 선정한 후보지를 대상으로 시설요구조건에 따른 조성 비용 등 사업성과 주민 수용성, 정주여건 등을 고려해 최적 후보지를 최종 선정한다.

이후 시는 최적 후보지를 명시한 '이전협의요청서'를 국방부에 정식으로 제출하게 된다.

군 부대 이전 지역에는 종합병원과 쇼핑, 문화, 체육 등 복지 기반시설을 갖춘 '복합 밀리터리 타운'이 조성돼 인구 2만~3만명의 소도시가 조성될 전망이다.

윤영대 대구시 군사시설이전특보는 "올 연말까지 이전 관련 업무협약 체결을 목표로 국방부와 협의 중"이라며 "협약 체결되면 군부대 이전 사업이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매일신문

https://naver.me/FM1GB4g6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