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사업성+속도 잡고 ‘현정부 1호 국가산단’ 지정 노린다…대구시, 제2국가산단 경쟁력 높인다

profile
whiteheart

옥포 본리리 농지 28만 평 추가 편입 등 사업구역 조정

 

조성원가 평당 160만 원가량 인하 효과

 

제조용지 확보 등 기업유치 경쟁력 강화


 

대구 제2국가산단 사업구역 조정 위치도

대구 제2국가산업단지(대구 미래 스마트기술 국가산단)의 제조용지가 당초 계획보다 10만 평 늘었다. 사업구역 중 생산녹지와 준주거지역 일부를 제외, 보상비가 저렴한 개발제한구역 농지가 추가된 것이다. 이에 따른 제2국가산단 조성원가는 평당 160만 원가량 인하될 전망이다.

대구시는 제2국가산단 사업구역을 조정해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대구시에 따르면 제2국가산단의 조성원가 인하와 제조용지 추가 확보를 위해 당초 329만4천㎡(약 100만 평)로 계획했던 사업구역 중 생산녹지와 준주거지역 일부를 제외했다.

반면 보상비가 저렴한 개발제한구역 농지를 추가, 304만2천㎡로 조정해 추진한다.

지난 3월15일 달성군 화원읍~옥포읍 일대가 제2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된 후 대구시와 사업시행예정자(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도시개발공사)는 우수한 역외기업 유치를 위해 조성원가 인하 방안 마련과 제조용지 추가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그 결과 △화원읍 구라리 일대 △사업지 내 준주거지역(화원읍 성산리, 옥포읍 간경리~기세리) △달성군에서 사업추진 중인 화원읍 설화리 공영차고지 일대 및 구 화원운전면허시험장 등 118만5천㎡를 제외키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시는 산단 규모 확보와 조성원가 인하를 위해 개발제한구역인 사업대상지 서측 옥포읍 본리리 농지의 추가 편입을 병행 추진했다.

농지개발 주무 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와 지속적인 협의 끝에 90만2천㎡(약 28만 평)의 농지를 추가로 개발하는 방안에 대한 동의를 이끌어 냈다.

사업구역 조정으로 보상비 절감을 통한 조성원가 인하, 제조용지 추가 확보(기존 37만 평에서 47만 평 이상), 사업성 강화로 신속한 사업추진 효과가 기대된다.

이번에 추가된 제조용지 부지는 도심과 가깝고 교통망이 우수해 제2국가산단 기업유치 경쟁력을 더욱 높여줄 것으로 보인다.

시는 신속한 행정절차 이행으로 2025년 목표인 ‘현정부 1호 국가산단’ 지정은 물론 2030년 목표인 산단 준공도 원활하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2국가산단 입주업종은 미래모빌리티(미래차+로봇) 제조업, 빅데이터·인공지능 등 지식서비스업이다.

이날 시는 사업구역 조정에 따른 투기 방지를 위해 지난 3월 지정한 ‘토지거래 허가구역’을 조정된 사업구역으로 변경해 지정·공고했다.

달성군에서도 지난 4월 지정한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의 변경을 위한 열람공고를 실시한다. 공고기간이 완료되면 즉시 변경 지정할 예정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번 사업구역 조정으로 사업성이 높아지고 사업 전체의 속도도 빨라지게 된 만큼 대구 미래 50년을 위한 산업거점의 토대가 더욱 단단해졌다”며 “우수한 역외기업, 대기업들을 유치하는 데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사업시행예정자인 LH에서는 다음달 초 타당성 조사 용역을 착수한다. 내년 2월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의뢰한다.

 

대구일보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311230037

댓글
1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