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한국 겨냥 사이버 공격 중국·북한 비율이 80%"… 국정원이 확인

뉴데일리

국가정보원이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국정감사에서 대한민국을 겨냥한 사이버 해킹 공격 배후에 중국과 북한의 비율이 80% 이상을 차지한다며, 사이버 안보 분야의 최대 위협 국가로 평가했다.

정보위 국민의힘 간사인 유상범 의원은 1일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정원에서 비공개로 진행한 국정감사에서 "국제 해킹 조직의 하루 평균 국내 사이버 공격 시도는 지난해 118만 건에서 올해 156만 건으로 32% 이상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그러면서 "IT, 금융 등 민간 분야 침해도 급증하여 공공 분야의 2배에 달하는 등 민간인의 피해도 확산되고 있는 양상"이라고 우려했다.

또 "국정원은 북한이 국내 첨단 무기 제조업체와 조선업체를 해킹한 사실을 확인해 이를 보안 조치했고, 국내 유명 포털 사이트와 전자상거래 업체를 모방한 가짜 앱 개발 경향도 사전에 포착, 선제 차단했다고 보고했다"고 말했다.

유 의원은 "북한이 작년부터 올해까지 전 세계 해킹을 통해 9억2000만 달러의 금전을 탈취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국정원과 FBI가 공조해서 북한이 탈취한 가상자산 3억4500만 달러를 2023년 2월과 6월 2차례에 걸쳐서 최초로 파악한 부분에 대한 보고도 있었다"고 밝혔다.

국정원의 보고에 의하면, 중국의 경우 대한민국 정부가 사용하는 IT 보안제품과 제조사를 해킹하는 등 전방위적인 IT 공격을 시도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유 의원은 "국정원은 중국의 국내 대기업 예산 랜섬웨어 공격 정황을 포착하고, 해당 기업에 관련 정보를 신속히 알려 피해를 예방했다"며 "국내 언론사를 위장한 웹사이트 구축, 운용을 파악해 차단폐쇄를 추진 중에 있다고 보고 했다"고 전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3/11/01/2023110100333.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