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기만 보면 토하고 싶다" 마약 처벌 로버트 할리, 4년 만에 공개석상 등장
n.news.naver.com
태영호 의원 주최 마약 관련 토론회 참석
"마약, 절대 손대지 말라…관심·치료 필요"
마약 투약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던 방송인 겸 광주외국인학교 이사장 하일(미국명 로버트 할리·62)씨가 4년 만에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마약에 중독된 자신의 경험을 털어놓으며 위험성을 알리는 동시에 마약 사범들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원본보기
하씨는 14일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해외 청년들에게는 술보다 흔한 마약' 토론회에 참석해 '마약과 사회-마약 투약에 대한 개인적 경험'을 주제로 발제했다.
하씨는 "미국 동부 주립 대학교의 로스쿨을 다니면서 주말마다 파티하다 보니 술과 대마초를 피우게 됐다"며 "마약을 한 번 접하게 되면 끝없는 사이클이 시작된다. 중독자 대부분 일반 직장을 다니지 못하고 나중에는 약을 사기 위해 도둑질을 하거나 직접 판매하게 된다"고 고백했다.
이어 마약 투약 파문 이후 시간을 언급하며 "(마약 사건 이후) 방 안에서 온종일 울었다. 죽고 싶었다. 저를 떠난 친구들도 많다"며 "그런데 가족이 매일 지켜봤다. 몇 명의 친구들과 매니저 덕분에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었다. 산에 가면 사람들이 힘내라고 해줘 힘이 생겼다. 저와 같은 처지에 계신 분들도 주변 사람의 관심과 사랑, 우정이 있어야 회복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하씨는 또 "처벌을 받은 사람으로서 마약 합법화는 올바른 길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미국인 중 25%가 지난 1년 안에 대마를 피워봤다고 한다. 합법화로 해결이 됐느냐. (오히려) 마약 사용자가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에서는 마약 관련 교육 시설, 치료 병원이 너무 부족하다”며 “지역 곳곳에 중독 재활 관련 비영리법인 단체가 생겨 실질적 교육과 심리상담이 이뤄져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씨는 N.A(Narcotics Anonymous·익명의 약물중독자들 모임), DARC(마약중독재활원) 등을 위한 정부 지원과 마약 관련 처벌 강화를 촉구했다.
그는 "마약 (중독 치료) 교육을 받아 지금은 주사기를 보면 토하고 싶다"고 고백한 그는 "일반인들은 저처럼 이런 기회가 많이 없다. 한국에서 마약 중독자를 교육할 수 있는 시설이나 병원이 너무 부족하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원본보기
앞서 지난 2018년 선고 직후 하씨는 "실수했고, 잘못했으니까 대가를 치러야 한다"며 "앞으로 가족을 생각하고, 가족을 충실하게 사랑하겠다. 가족과 사회를 위해 봉사하며 살겠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태 의원이 중앙당 윤리위원회로부터 받은 당원권 3개월 정지 징계가 풀린 후 처음 개최한 행사다.
의원실은 해외 경험이 있는 청년들의 시각으로 한국 마약 범죄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한국 내 마약 확산 방지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고 밝혔다.
한편 하씨는 지난 2019년 4월 8일 한 지역방송에서 방송 녹화를 마친 직후 필로폰 투약 혐의로 체포돼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김현정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