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선택'이란 단어에는 전혀 다른 두종류의 뜻이 있다.
1. 상대 정당에 더 약한 후보가 나올 것을 희망하며
원래 자신이 선호하는 후보가 아닌 비선호 후보를 선택하는 것
2. 상대 정당의 전당대회 여론조사에 참여하는 것
→ 최근 논란이 되는 '역선택'은 2번의 뜻을 말하고 있음.
그럼, 2번 역선택을 막는 방법 중 정말로 효과적인 게 무엇일까?
1. 여론조사시 역선택 방지조항(지지정당 질문)을 넣는 방법
2. 여론조사 없애고, 당원투표 100% 하는 방법
1번? or 2번?
1번의 경우, 민주당 지지자들은 배제되기 때문에 역선택을 할 수가 없다.
이런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이 있다.
"만약에 민주당 지지자가 거짓말로 응답하고
여론조사 참여하면 어떡하냐?"
→ 좋다, 그런 계획을 세우고 있는 민주당 지지자가 있다고 치자
4400~4500만 유권자에서 고작 몇천명 무작위로 전화해서
그런 계획을 한 민주당 지지자가 전화받을 확률이 얼마나 될까?
2번의 경우, 당원투표 100%는
역선택을 완전히 막을 수 있다?
→ 민주당 지지자가 당원 투표하려고 입당하면 그건 어떻게 막음?
여론조사는 역선택을 하려고 해봤자,
전화 못받으면할수도 없게되지만 당원투표는 입당만 하면 무조건 할 수가 있음.
설명 끝
진짜 '역선택' 막으려고 룰바꾸는 거 맞음? 진짜로?
참고로,
기존 전당대회 룰
여론조사 30 : 당원투표 70
+여론조사시 역선택 방지조항
(민주당 등, 야당 지지 응답시 배제)
바꿀려고 하는 룰
당원투표 100
국민의힘은 항상 3:7로 가다가 자기들 생각이랑 다르게가면 바꿉니다. 대선때도 그렇고 이번도 그렇죠. 위 내용대로라면 오히려 3:7로 대선때도 했어야 오히려 역선택 방지가 가능했습니다.
국민의힘은 항상 3:7로 가다가 자기들 생각이랑 다르게가면 바꿉니다. 대선때도 그렇고 이번도 그렇죠. 위 내용대로라면 오히려 3:7로 대선때도 했어야 오히려 역선택 방지가 가능했습니다.
이 모든 논란은 후보들이 비리비리해서 입니다.
예전에는 전당대회 룰에 관계없이 후보군이 나오면 누가 뽑힐지 각이 나왔거든요.
이 당은 인재 양성이 멈춘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그때그때 외부 수혈할 생각만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