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제국이 뭔지 모르는 우리 민족

profile
마르쿠스아우렐리우스

그리스 역사에서 3번 째 전쟁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기원전 5세기에 있었던 그리스 내전이었다. 


바로 지금 우리의 이야기일지 모른다. 

좌로 우로 ㅎㅎ 우리의 적은 김정은가 아니라 바로 우리 내부의 적이었다. 


그리스는 페르시아전쟁 이후 제국화 되었다. 

그리스 사람들은 그리스가 문명국가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우리 인간 내면의 솔직한 욕심과 적나라한 군상이 펼쳐지는 파노라마였다. 


아테네를 중심으로 모인 델로스 동맹과 스타르타를 중심으로 모인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전쟁이었다. 


아테네는 진취적이고 민첩한데 스파르타는 보수적이었다. 

민주사회였던 아테네가 제국화되었고 결국 보수적이던 스파르타에게 멸망하였다. 

역사는 돌고 돈다. 


우리 민족은 제국을 통치해본 경험이 없고 지배만 당했다. 

그것이 우리민족의 단점이며 제국화의 교훈을 알지 못한다. 


결국 아테네는 제국화를 포기하지 않았고 그리스의 화려한 영광은 아테네의 멸망으로 끝났다. 

화려한 그리스의 황금기를 상징하는 파르테논 신전은 오스만트루크의 폭격으로 완파되었고 현재도 복원 중이다. 

신전 내부의 조각품들은 영국이 가져다가 대영박물관에 보관 중이다. 


페리클래스는 추도사에서 행복은 자유에 있고 자유는 용기에 있음을 명심하라고 말했었다.


대영제국은 가장 잘 나가던 시절 로마쇠망사를 연구했었다.(에드워드 기번)


가장 잘나갈 때가 있으면 내리막도 있다.

대영제국은 로마쇠망사를 철저히 연구했기에 오늘날까지 크게 망하지 않고 해가 지지않는 나라가 되었을지 모른다.

댓글
11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 카이사르
    2021.11.26

    서양의 대다수의 나라들이 로마를 연구했다고 해도 과언이아니죠

    그만큼 세계사에 있어서 로마가 가지는 영향력은 어마무시하다 봅니다

  • 카이사르
    마르쿠스아우렐리우스
    작성자
    2021.11.26
    @카이사르 님에게 보내는 답글

    우리나라에는 로마사를 연구하는 사람이 없는 듯합니다.

     

    그리스 철학을 연구하는 분들은 몇분 계시더군요

     

    일본의 시오노 나나미는 카이사르를 동경하여 15년에 걸쳐 로마인이야기를 집필했다고 들었던 것 같아요.

     

    로마인 이야기는 문헌을 토대로 기록했다지만 시오노 나나미의 주관적 시각으로 작성한 거라 아직 손이 안가더군요

  • 마르쿠스아우렐리우스
    카이사르
    2021.11.26
    @마르쿠스아우렐리우스 님에게 보내는 답글

    마스터스 오브 로마를 읽고있는데

    평이 좋습니다.

    작가가 오른쪽 눈의 시력을 잃으면서 까지 몇십년간 고증을 거쳐 쓴 책인데

    어마무시하네요

     

    p.s 이 작가도 카이사르를 동경합니다

     

    진짜 서양에서의 카이사르의 위상은 어마무시한거같아요

  • 카이사르
    마르쿠스아우렐리우스
    작성자
    2021.11.26
    @카이사르 님에게 보내는 답글

    독일 러시아의 황제들 조차 카이사르를 동경했으니까요. 카이저, 차르 

    로마 일인자 좋죠 인문학

  • 마르쿠스아우렐리우스
    카이사르
    2021.11.26
    @마르쿠스아우렐리우스 님에게 보내는 답글

    저도 인간사 원탑을 꼽으라면 카이사르를 꼽습니다

  • 신세계
    2021.11.26

    👏👏👏

  • 개척정신
    2021.11.27

    로마의 축성술은 굉장히 뛰어났죠. 수도교만 봐도 ㅎㄷㄷ함;

    수만은 제국들의 부흥과 멸망을 공부한다면 반복되는 인류사를 통해서 미래를 대비할 수 있음.

     

    "현명한 자는 역사에서 배우고, 어리석은 자는 경험에서 배운다." -프리드리히 니체-

  • 개척정신
    마르쿠스아우렐리우스
    작성자
    2021.11.27
    @개척정신 님에게 보내는 답글

    콘크리트도 로마가 개발했죠

  • 개척정신
    마르쿠스아우렐리우스
    작성자
    2021.11.27
    @개척정신 님에게 보내는 답글

    우리민족은 불과 50년 전의 역사도 잘 모르는것 같네요 역사에서 공과 과는 분명 있을진데

  • 마르쿠스아우렐리우스
    개척정신
    2021.11.27
    @마르쿠스아우렐리우스 님에게 보내는 답글

    "역사(근본)을 잊은 민족에게는 미래가 없다."

    라는 명언이 존재할 정도로 알아야하는데 안타깝죠.

  • 2Seconds
    2021.11.27

    👏👏👏👏👏